분류 전체보기 12566

2022년 9월 22일 연중 제25주간 목요일

2022년 9월 22일 연중 제25주간 목요일 그래서 헤로데는 이렇게 말하였다 “요한은 내가 목을 베었는데, 소문에 들리는 이 사람은 누구인가?”그러면서 만나 보려고 하였다.(루가 9, 7-9) But Herod said, “John I beheaded. Who then is this about whom I hear such things?” And he kept trying to see him. 오늘의 복음 :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말씀의 초대 코헬렛은 “허무로다, 허무! 모든 것이 허무로다!”라며 태양 아래 새로운 것이란 없다고 말한다(제1독서). 헤로데 영주는 예수님께서 하신 모든 일을 전해 듣고 몹시 당황하며, 예수님을 만나 보려고 한다(복음..

September 22, 2022 Thursday of the Twenty-fifth Week in Ordinary Time

2022년 9월 22일 연중 제25주간 목요일  오늘의 복음 :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 제1독서 코헬렛.1,2-11 2 허무로다, 허무! 코헬렛이 말한다. 허무로다, 허무! 모든 것이 허무로다!3 태양 아래에서 애쓰는 모든 노고가 사람에게 무슨 보람이 있으랴?4 한 세대가 가고 또 한 세대가 오지만 땅은 영원히 그대로다.5 태양은 뜨고 지지만 떠올랐던 그곳으로 서둘러 간다.6 남쪽으로 불다 북쪽으로 도는 바람은 돌고 돌며 가지만 제자리로 되돌아온다.7 강물이 모두 바다로 흘러드는데 바다는 가득 차지 않는다.강물은 흘러드는 그곳으로 계속 흘러든다.8 온갖 말로 애써 말하지만 아무도 다 말하지 못한다.눈은 보아도 만족하지 못하고 귀는 들어도 가득 차..

오늘의 복음 2022.09.22

September 21, 2022 Feast of Saint Matthew, Apostle and evangelist

2022년 9월 21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오늘의 복음 :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 제1독서 에페소서. 4,1-7.11-13 형제 여러분,1 주님 안에서 수인이 된 내가 여러분에게 권고합니다.여러분이 받은 부르심에 합당하게 살아가십시오.2 겸손과 온유를 다하고, 인내심을 가지고 사랑으로 서로 참아 주며,3 성령께서 평화의 끈으로 이루어 주신 일치를 보존하도록 애쓰십시오.4 하느님께서 여러분을 부르실 때에 하나의 희망을 주신 것처럼,그리스도의 몸도 하나이고 성령도 한 분이십니다.5 주님도 한 분이시고 믿음도 하나이며 세례도 하나이고,6 만물의 아버지이신 하느님도 한 분이십니다.그분은 만물 위에, 만물을 통하여, 만물 안에 계십니다.7 그러..

오늘의 복음 2022.09.09

2022년 9월 21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2022년 9월 21일 성 마태오 사도 복음사가 축일 성 마태오 사도는 세리로 일하다가 주님의 부르심을 받고 사도가 되었다. “예수님께서 길을 가시다가 마태오라는 사람이 세관에 앉아 있는 것을 보시고 말씀하셨다. ‘나를 따라라.’ 그러자 마태오는 일어나 그분을 따랐다”(마태 9,9). ‘마태오 복음서’를 쓴 마태오 복음사가가 전하는 증언의 핵심은 “부활하신 그리스도께서 바로 복음서가 서술하는 나자렛 예수님과 동일한 분이시라는 것”(『주석 성경』 ‘마태오 복음서 입문’ 참조)이다. 전승에 따르면, 마태오 사도는 에티오피아와 페르시아에서 복음을 전하다가 순교하였다. ☆☆☆ 예수께서 길을 가시다가 마태오라는 사람이 세관에 앉아있는 것을 보시고 “나를 따라오너라.”하고 부르셨다. 그러자 그는 일어나서 예수를 따..

2022년 9월 20일 연중 제25주간 화요일

2022년 9월 20일 연중 제25주간 화요일 “내 어머니와 내 형제들은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이 사람들이다.” (루카 8,19-21) “My mother and my brothers are those who hear the word of God and act on it.” 오늘의 복음 :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 말씀의 초대 잠언의 저자는, 마음을 살피시는 분은 주님이시니 정의와 공정을 실천함이 주님께는 제물보다 낫다고 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실행하는 사람이 내 어머니와 내 형제들이라고 하신다(복음). 오늘의 묵상 -박병규신부- 이른바 예수님의 새 가족은 하느님 말씀을 듣고 실천하는 이들의 모임입니다. 그렇다..

2022년 9월 19일 연중 제25주간 월요일

2022년 9월 19일 연중 제25주간 월요일 등불을 켜서 그릇으로 덮어 두거나 침상 밑에 두는 사람이 어디 있겠느냐? 누구나 등경 위에 얹어 놓아 방에 들어오는 사람들이 그 빛을 볼 수 있게 할 것이다. (루가 8,16-18) “No one who lights a lamp conceals it with a vessel or sets it under a bed; rather, he places it on a lampstand so that those who enter may see the light 말씀의 초대 잠언의 저자는, 선행을 거절하지 말고 악을 지어내지 말라며, 주님께서는 의인에게 복을 내리신다고 가르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등불은 등경 위에 놓아 들어오는 이들이 빛을 보게 한다며, 숨겨진..

2022년 9월 18일 일요일 연중 제25주일

2022년 9월 18일 일요일 연중 제25주일 너희는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 없다.” (루카 16,1-13) You cannot serve both God and mammon.” 약은 집사의 비유. 오늘의 복음 :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 말씀의 초대 아모스 예언자는 가난한 이를 망하게 하는 자들에게, 주님께서는 그들의 모든 행동을 결코 잊지 않으신다고 경고한다(제1독서). 바오로 사도는 티모테오에게, 모든 사람을 위하여 간청과 기도와 전구와 감사를 드리라고 권고한다(제2독서). 예수님께서는 불의한 집사의 비유를 드시며, 하느님과 재물을 함께 섬길 수는 없다고 하신다(복음). 오늘의 묵상 부모의 생일이 되면 어린 자녀들은 부모에게 줄 선물을 ..

2022년 9월 17일 연중 제24주간 토요일

2022년 9월 17일 연중 제24주간 토요일 “씨 뿌리는 사람이 씨를 뿌리러 나갔다. 씨를 뿌리는데 어떤 것은 길바닥에 떨어져서 발에 밟히기도 하고 하늘의 새가 쪼아 먹기도 하였다. (루가 8,4-15) “A sower went out to sow his seed. And as he sowed, some seed fell on the path and was trampled, and the birds of the sky ate it up. 오늘의 복음 :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죽은 이들의 부활이 없다고 하는 사람들에게, 그리스도께서 되살아나지 않으셨다면 여러분의 믿음은 덧없다며 부활을 강조한다(제1독서). 예수님께서는 ..

2022년 9월 16일 연중 제24주간 금요일

2022년 9월 16일 연중 제24주간 금요일 일곱 마귀가 나간 막달라 여자라고 하는 마리아, 헤로데의 신하 쿠자의 아내인 요안나, 그리고 수산나라는 여자를 비롯하여 다른 여자들도 여럿 있었다. 그들은 자기네 재산을 바쳐 예수의 일행을 돕고 있었다. (루가 8,1-3) Mary, called Magdalene, from whom seven demons had gone out, Joanna, the wife of Herod’s steward Chuza, Susanna, and many others who provided for them out of their resources. 오늘의 복음 : http://info.catholic.or.kr/missa/default.asp 말씀의 초대 바오로 사도는 죽은 ..

2022년 9월 15일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2022년 9월 15일고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 ‘고 통의 성모 마리아 기념일’은 예수님의 십자가의 길을 함께하신 성모님의 고통을 기억하는 날이다. 자식의 아픔은 어머니에게 더 크게 다가오는 법이다. 시메온은 성모님의 그 고통을 이렇게 예언하였다. “이 아기는 이스라엘에서 많은 사람을 쓰러지게도 하고 일어나게도 하며, 또 반대를 받는 표징이 되도록 정해졌습니다. 그리하여 당신의 영혼이 칼에 꿰찔리는 가운데, 많은 사람의 마음속 생각이 드러날 것입니다”(루카 2,34-35). 성모님의 고통을 묵상하고 기억하는 신심은 오래전부터 널리 퍼져 있었으며, 1688년 인노첸시오 11세 교황 때 이 기념일이 정해졌다. 1908년 비오 10세 교황은 ‘성 십자가 현양 축일’ 다음 날인 9월 15일로 기념일을 옮겨 예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