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 10장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겸손”-3 제 10장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겸손”-3 가난과 일 최근에 생긴 “인간과 현세적 실재”의 신학에서 노동의 신학은 중요한 자리를 차지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는 「현대세계의 사목헌장」 3장에서 개인적이고 사회적인 차원에 있어 인간 활동의 크리스천적 의미를 제..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 10장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겸손”-2 제 10장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겸손”-2 “이 세상에서 순례자나 나그네 같이 ····”(RB 6,2) 가난에 관한 성 프란치스코의 전반적인 가르침은 종말론적 색조를 띠고 있다. 작은 형제는 일정한 거주지 없이, 이 땅에 자기를 묶게 하고 속박하는 아무것도 없이 “생명의 땅”..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 10장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겸손” 제 10장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가난과 겸손” 성 프란치스코는 가난에 관하여 일정한 정의를 말하지는 않았다. 성인은 이론적인 정의를 내리기 좋아하는 사람이 아니었고, 특별한 카리스마를 입은 사람들처럼 실질적인 행동과 생활양식을 통해 가난을 실천한 사람이었다. “가난이..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 9장 사랑하기 위한 자유로운 마음 제 9장 사랑하기 위한 자유로운 마음 정결하게 산다. 프란치스코에게 ‘정결하게 산다“라는 표현이 무엇을 의미하는지를 알기 위해서는 섬기는 데 있어서 성인이 강조하는 ”마음이 깨끗함과 정신의 단순성“에 대한 일반적 개념을 먼저 알아야 한다. 정결이란 마음이 가난한 데에서 우..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 8장 깨끗하고 순수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흠숭한다. 제 8장 깨끗하고 순수한 마음으로 하느님을 흠숭한다. 프란치스칸 기도 아씨시의 프란치스코 성인은 회개의 은총과 함께 기도의 특은을 받았다. 그래서 성인에게는 회개한 후 하느님과 일치하기 위해 특별한 기도양식이 필요없었다. 자기 마음속 깊이 하느님의 부르심을 받아 성령의 작..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7장 주님의 영과 그의 거룩한 작용 제7장 주님의 영과 그의 거룩한 작용 하느님의 자녀들이 사랑의 세계에서 사는 것은 합당하다. 그리고 “누구든지 하느님의 성령의 인도에 따라 사는 사람은 하느님의 자녀”(로마 8,14)이다. “주님의 영”이라는 표현은 성 프란치스코의 영성에 있어서 특이한 요소이며 성서적 배경에 기..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 6장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 앞에서 프란치스코와 글라라의 태도 제 6장 지극히 높으신 하느님 앞에서 프란치스코와 글라라의 태도 “거룩하시고 의로우신 아버지” 프란치스코는 형제인 인간을 통해서 그리스도를 발견하였고, 그리스도를 통해서 하느님 아버지를 알게 되었다. 「제1권고」시작에서 요한 복음의 말씀을 인용하면서 사부님은 자기 자신..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 5장 교회의 모형이신 마리아 제 5장 교회의 모형이신 마리아 아씨시의 프란치스코 시대에는 하느님의 모친에 대한 공경과 신심이 널리 퍼져 있었고 당대의 음유시인들은 자기네 종교시를 통해 성모를 고결한 표현으로 찬미하였다. 성 프란치스코는 음유시 종에 성모의 찬가 몇 개를 인용하고 있다. 실은 그는 회두한 ..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4장 교회 안에 현존하시는 그리스도 제4장 교회 안에 현존하시는 그리스도 프란치스코에 의하면 ‘나는 세상 종말까지 어느 날이나 항상 여러분과 함께 있습니다“(마태 28,20)라는 그리스도의 약속이 여러 모양으로 이루어진다: 이 약속은 먼저 성체성사 안에서, 다음에 교회의 교계를 통한 행정과 교도권, 그리고 마지막으..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
제 3장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른다. 프란치스칸 소명 제 3장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발자취를 따른다. 복음은 교리이기에 앞서 생활이다. 프란치스코 성인이 먼저 가난하고 불쌍한 사람 안에서 발견하였던 그리스도는 이제 복음 안에서 생생하게 그리고 매우 가깝게 성인에게 당신 자신을 드러내신다. 그리고 성인은 복음.. 프란치스칸소명 2017.12.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