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울증과 정신 질환의 치유는 어떻게?/김홍언신부 ♥우울증과 정신 질환의 치유는 어떻게? 치유를 위해서는 자기 내면의 세계와 자주 만나야 합니다. 조용한 가운데 자기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는 것입니다. 요즘같이 바쁜 사람들에게는 자기 자신을 돌아보며 묵상하는 시간을 갖는 것도 ‘능력’이라고 합니다. 혼자 눈을 감고 조용히 묵상하.. 영성의 샘물 2008.01.15
현대인들의 두려움과 우울증 등 정신 질환의 원인?/김홍언신부 ♥현대인들의 두려움과 우울증 등 정신 질환의 원인? 두려움과 우울증은 현대인들이 지나치게 완벽을 추구하고, 빠른 결과를 얻으려는 데서 발생한 부작용입니다. 그러나 현대인들은 이에 대해 의학적 치료만을 우선으로 합니다. 그대로 받아들일 필요가 있습니다. 두려움과 우울함을 느끼는 것 자체.. 영성의 샘물 2008.01.15
현대인들이 잃어버린 영성을 되찾으려면?/김홍언신부 ♥현대인들이 잃어버린 영성을 되찾으려면? 영성을 되찾기 위해서는 우선 아침에 일찍 일어나기, 제 때 식사하기 등 규칙적인 삶을 살아가는 것이 중요합니다. 그러면 내가 나에 대한 주도권을 쥐고 외부에 흔들리지 않고 살 수 있습니다. 두 번째는 자기 자신을 바로 아는 것입니다. 요즘 사람들은 바.. 영성의 샘물 2008.01.15
평화를 얻으려면/김홍언신부 ♥평화를 얻으려면 주님께서 그토록 우리에게 내적으로나 외적으로나 지니라고 하신 평화를 얻으려면 다음 세 가지를 갖추어야 합니다. 그 하나는 “서로 사랑함”이고 그 둘은 “피조물에게서 이탈함”이요 그 셋은 “참다운 겸손”입니다. -예수의 성녀 데레사- ♣‘그리스도는 우리의 평화이시다.. 영성의 샘물 2008.01.08
외로움과 고독의 차이/김홍언신부 ♥외로움과 고독의 차이 '외로움'과 '고독'의 차이는? 외로움은 혼자임으로 쓸쓸해하며, 외톨이며 <관계>의 단절로 영혼의 병이 될 수 있으나, '고독'은 홀로 있으나 마음의 비움의 자리에 하느님을 채우도록 하는 기회이며 하느님과 나 자신인 단독자單獨者로 만남의 자리이며 하느님과의 올바른 .. 영성의 샘물 2008.01.08
극치의 체험이란 무엇인가?/김홍언신부 ♥극치의 체험이란 무엇인가? 심리학자 아브라함 마슬로우는 ‘극치의 체험’이란 사람이 인위적으로 만들어 낼 수 없고 연극처럼 연출을 통해 내보일 수도 없는 것이라고 말한다. 그 체험은 우리가 온전히 지금 이 순간에 있으면 다가온다. 아침 해가 떠오르는 모습을 보면서도 그런 체험을 할 수 있.. 영성의 샘물 2008.01.08
황홀한 광경/김홍언신부 ♥황홀한 광경 우리의 눈이 휘둥그레지는 황홀의 극치는 우리 주변의 수많은 사물과 사건 안에 이미 존재하고 있는데도 우리가 계속 그것을 찾아다니는 것은 아이러니이다(시인, 아나이스 닌). -<사는 것이 즐겁다>에서 ♣무변광대하고 광활한 우주와 성운들의 운행과 그 질서, 무수히 반짝이는 .. 영성의 샘물 2008.01.02
사람은 만족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뻐하기 위해 태어났다./김홍언신부 ♥사람은 만족하기 위해서가 아니라 기뻐하기 위해 태어났다. 사람은 만족하기 위해서, 충분히 소유하기 위해서, 해소되기 위해서 태어난 것이 아니다. 사람은 기뻐하기 위해 태어났다. 기쁨은 ‘활발한’, ‘흥분한’, ‘감동한’이라는 단어들과 관련이 있으며 모두 ‘껑충껑충 뛰다’에서 파생되.. 영성의 샘물 2008.01.02
성인은 지적이면서도 감성적으로 세상에 빛을 발한다./김홍언신부 ♥성인은 지적이면서도 감성적으로 세상에 빛을 발한다. 도로시 데이는 인스턴트커피를 좋아했고 갓 구워 낸 빵을 즐겼다. 바닷가에 앉아 파도를 보며 좋아했고, 토요일 오후에는 라디오 방송의 오페라 음악에 심취하기도 했다. 테야르 드 샤르댕은 이것을 ‘열정적 삶’이라고 했다. “지적이면서도.. 영성의 샘물 2007.12.31
충만하게 살아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김홍언신부 ♥충만하게 살아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충만하게 살아 있다는 것’은 무슨 뜻인가? 그것은 분명 그저 먹고 숨쉬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미친 듯이 들떠 있는 소란스러움도 아니다. 충만하게 살아 있다는 것은 자아의 가장 깊은 곳을 살아 내는 것이다. 자아의 가장 깊은 곳을 마음 또는 영혼이.. 영성의 샘물 2007.12.3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