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 교재

프란치스칸 여정 제8장 재속 프란치스칸 삶에서의 성서

Margaret K 2021. 8. 1. 06:59


프란치스칸 여정 

제8장 재속 프란치스칸 삶에서의 성서

Chapter eight Scripture in SFO Life


복음을 따르는 것은 프란치스칸의 생활양식에 중요하다. 이 장에서 성서와 우리와 관계에 있어 도움이 되는 배경요소를 탐구해 볼 것이다. 성서에 "귀 기울여" 일고 효력을 주는 이런 요소들을 성서를 따르는 신념으로 가득 찬 프란치스칸 정신을 지지한다.

Following the Gospel is important to our Franciscan way of life. In this chapter we will explore background elements to assist us in our relationship to Scripture. These elements for reading and implementing Scripture support a faith-filled Franciscan spirit in "listening" to Scripture.


어느 날 바로 그곳 성당에서 주님이 어뗳게 당신의 제자들에게 복음을 전파하도록 파견하셨는지에 관한 독서가 봉독되었을 때, 거기에서 일을 거들던 하느님의 거룩한 사람(프란치스코)은 복음 말씀을 완전히 이해하지 못하였다. 미사가 끝나자 사제에게 가서 그 복음에 대한 설명을 겸손하게 청하였다. 사제가 모든 것을 순서대로 설명하기를, 그리스도의 제자들은 금도 은도 돈도 소유해서는 안되며, 신발도 두 벌의 옷도 가져서는 안 되고, 하느님의 나라와 회개를 선포해야 한다고 하자(마태 10:6-10, 루가 9: 2-3) 이 말슴을 듣고 거룩한 프란치스코는 즉시 하느님의 영 안에서 기뻐 외쳤다. "이것이 바로 내가 찾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내가 원하던 것이다. 이것이 바로 내 온 정성을 기우려 하고 싶어하던 것이다."라고 그는 말했다.

One day the gospel was being read in that church about how the Lord sent out his disciples to preach. The holy man of God(Francis), who was attending there, in order to understand better the words of the gospel, humbly begged the priest after celebrating the solemnities of the Mass, to explain the gospel to him. The priest explained it all to him thoroughly line by line. When he heard that Christ's disciples should not possess gold or silver or money, or carry on their journey a wallet or a sack, nor bread nor a staff, nor to have shoes or two tunics, but that they should preach the kingdom of God and penance,(Mt 10: 6-10- Lk 9: 2-3) the holy man, Francis, immediately exulted in the spirit of God. "This is what I want," he said, "this is what I seek, this is what I desire with all my heart."

 성 프란치스코의 생애 (1권)-첼라노의 토마스

Life of St Francis(1st Book) - Thomas of Celano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 -1권 -201-202쪽

Francis of Assisi -The Saint -Vol 1 - Page 201-202.


그리고 주님께서 나에게 몇몇 형제를 보내주신 후, 아무도 나에게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보여주지 않았지만, 가장 거룩하신 주님께서는 나에게 거룩한 복음의 양식에 따라 살아야 한다고 계시해 주셨습니다.

And after the Lord gave me some brothers, no one showed me what I had to do, but the Most High Himself revealed to me that I should live according to the pattern of the Holy Gospel.

유언-아시시의 프란치스코-성인 -1권 -125쪽

The Testament - Francis of Assisi - The Saint - Vol 1 -Page 125


2.(회칙 4.3) 그리스도의 가르침과 모범을 따르려는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원은 개인적으로 복음과 성서를 열심히 공부할 의무가 있다. 형제회와 그 책임자는 복음 말씀에 대한 애정을 기르고, 성령의 도우심과 교회의 가르침에 따라 회원의 성서 이해를 도와야 한다

2. Rule 4.3 The Secular Franciscans, committed to following the example and teachings of Christ, must personally and assiduously study the Gospel and Sacred Scripture. The fraternity and its leaders should foster love for the word of the Gospel and help the brothers and sisters to know and understand it as it is proclaimed by the Church with the assistance of the Sprit. 

회헌 -9조 2항

Constitutions -Article 9.2


3. 영속절 양성 -교육과정, 회합과 체험의 공유를 통해 이루어지는 영속적 양성은 형제 자매들을 도와주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Ongoing formation - accomplished by means of courses, gatherings and the sharing of experiences -aims to assist the brothers and sisters: 

+ 회칙 4조 "복음에서 삶으로, 삶에서 복음으로 나아가며," 하느님의 말씀을 듣고 묵상하도록 한다.

Rule 4 In listening to and meditating on the Word of God, "going from Gospel to life and from life to Gospel:"

+ 신앙의 빛을 받고 교도권의 문헌을 통해 교회와 사회에서 일어나는 사건에 대해 적절한 입장을 취한다.

in reflecting on events in the Church and in society in the light of the faith, and with the help of the documents of the teaching Church, consequently taking consistent positions; 

+ 성 프란치스코와 성녀 글라라 및 다른 프란치스칸의 글을 연구하며 모든 회둰들의 프란치스칸 성소 실현과 심화를 돕는다. 회헌 -44조 3항

in discerning and deepening this Franciscan vocation by studying the writings of Saint Francis, Saint Clare and Franciscan authors. Constitutions -Article 44.3


[우리는] 신성한 성경을 자주 읽음으로써 "예수 그리스도에 대한 탁월한 지식"(필리피 3:8)을 배우도록 신앙심 있는 크리스천에서 설득력 있고 명확하게 권고한다.  "성경의 무지는 그리스도의 무지이다"(St. Jerome). 그러므로 그들로 하여금 기쁘게 성스러운 원문 자체로 가도록 하라. 그것이 신성한 말로 가득 찬 기도서이든, 경건한 문헌이든 혹은 적합한 예배나 교회 성직자의 인준과 지도로 우리의 시대에 적절하게 산재해 있는 여러 가지 다른 도움이 되던 간에, 그렇지만 그들로 하여금 기도는 성서을 읽은 후에 반드시 동반되도록 기억하게 하라. 그래서 하느님과 인간 사이에 대화가 이루어진다....

[We] forcefully and specifically exhort all the Christian faithful ... to learn the "surpassing knowledge of Jesus Christ" (Philippians 3;8) by frequent reading of the divine scriptures. "Ignorance of the Scriptures is ignorance of Christ: (St. Jerome). Therefore, let them go gladly to the sacred text itself, whether in the sacred liturgy, which is full of the divine words, or in devout reading, or in such suitable exercises and various other helps which, with the approval and guidance of the pastors of the Church, are happily spreading everywhere in our day. Let them remember, however, that prayer should accompany the reading of sacred Scripture, so that a dialogue takes place between God and man. ...

성인용 미국 가톨릭 교리서 -미국 가톨릭 주교 회의 -32-32쪽

United States Catholic Catechism of Adults -USCCB -page 32-33


그러나 그대는 그대가 배워서 확실히 믿는 것을 지키십시오. 그대는 누구에게서 배웠는지 잘 알고 있습니다. 성경은 그리스도 예수님에 대한 믿음을 통하여 구원을 얻는 지혜를 그대에게 줄 수 있습니다. 성경은 전부 하느님의 영감으로 쓰인 것으로, 가르치고 꾸짖고 바로잡고 의롭게 살도록 교육하는 데에 유익합니다. 그리하여 하느님의 사람이 온갖 선행을 할 능력을 갖춘 유능한 사람이 되게 해 줍니다.(2 티모 3: 14-17)

But as for you, continue in what you have learned and firmly believed, knowing from whom you learned it, and how from childhood you have known the sacred writings that are able to instruct you for salvation through faith in Jesus Christ. All Scripture is inspired by God and is useful for teaching, for reproof, for corrections, and for training in righteousness, so that everyone who belongs to God may be proficient, equipped for every good work.(2 Timothy 3: 14-17)


이러한 원문은 프란치스칸 삶에 있어 성서의 역할에 대한 생각을 제공한다. 우리는 우리의 말고 사람을 통해 복음이 알려지도록 헌신하며 복음을 선포하는 자들이다. 복음은 우리에게 소중한 것이다. 복음의 구절은 살아있는 그리스도를 통한 생생한 말들이다. 기도와 함께 성서적 묵상을 동반할 필요성은 중요하다. 복음적 서약에 헌신한다는 것은 동시에 신앙심 깊은 시간을 가진다는 것이다.

These texts give some idea of the role of Scripture in the life of a Franciscan. We are gospel people, committed to making the Gospel known by our words and our lives. The Gospel is precious to us. Gospel texts are living words from the living Christ. The need to accompany our scriptural reflection with prayer is important. Being present to the scriptural words is at the same time a prayerful time.


우리는 원래의 언어로부터 우리의 언어로 번역된 성경을 읽는다. 언어학자들은 번역이 원래의 고유언어의 완전한 정취나 뉘앙스를 제공할 수 없다는 것을 인지하고 있다. 우리가 번역에 의존하는 것은 절대적일 수 없다. 번역이 반드시 절대적으로 정확하지도 않고 또 우리의 영어 역시 계속 변화한다. 

We read scripture texts that are translated into our language from the original languages. Linguists are aware that translations cannot offer the full flavor and nuances of the original languages. Our reliance on translations is not absolute. Translations are not always totally accurate and our English language keeps changing as well.


다른 학자들과 학자들의 그룹에 의한 수많은 번역이 있다. 그들은 고유의 생각과 문화적 의미를 다른 시대, 장소와 언어로 어떻게 번역할지를 결정하려 한다. 우리는 번역이 완전하지 않다는 것을 이해한다. 또 완전하지 않다는 사실도 인간의 환경 속에서 수용될 수 있다. 성령이 그런 한계 속에서 작용되는 것이다. 우리는 영어 번역이 원래의 성서 구절의 모든 어감을 취득할 수 없고 또 우리가 성경 구절 속에 있는 모든 문화적 영향을 인지할 수도 없다는 것을 깨닫고 있다.

There are numerous translations by different scholars and groups of scholars. They try to determine how to put the original ideas and cultural meanings into another time and place and language. We understand that translations are not perfect - and that is acceptable in our human situation. The Holy Spirit can work through that limitation. We realize that English translations may not capture every nuance of the original texts nor enable us to recognize all the cultural influences in the text.


성경은 다른 저자에 의해 쓰여진 책들의 수집물이다. 저자의 사고 방식, 그들의 개인적인 배경 및 그들이 살아온 시대를 이해하는 것은 성서의 구절을 이해하는데 도움이 된다. 성 바오로와 다윗 왕은 그들의 저작물에 영향을 주는 같은 문체나 성장 배경을 가진 것은 아니다. 그들의 성서구절을 더 잘 탐구하기 위해서는 사도 바오로의 서간과 다윗의 시편을 통해서 이 두 사람을 이해한다. 우리가 그들의 저술방식과 관점에 대한 느낌을 가짐에 따라 우리의 이해는 향상된다.

The Bible is a library of books written by different authors. Understanding the author's mind-set, their personal back-ground and the times in which they lived helps in understanding the text. St. Paul and King David no not have the same style nor the same growing-up background which influenced their writings. Paul's epistles and David's psalms require some understanding of these two people to better explore their texts. Our understanding improves as we get a "feel" for their way of writing and their perspectives.


우리는 성서는 성령의 영감을 받는다고 믿고 있다. 성서가 제공하는 계시는 우리에게 귀중하다. 그러나 모든 말씀(특히 번역에 있어) 이같은 영향력과 가치를 가지는 것은 아니다. 예수님의 열정, 죽음 그리고 부활에 관한 말 혹은 그의 가르침은 토빗의 성서 구절에서 나오는 새의 배설물에 대한 말이나 혹은 전쟁의 전투에 관한 이야기 속에서 주어진 날에 죽은 군인의 수에 관한 담화보다는 더 중요하다. 그다지 중요하지 않은 이런 말들이 쓸모가 없다는 것은 아니다. 그것들이 가르침의 한 부분이 되는 것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더 큰 그림에 조화를 이룰 필요가 있다. 말씀에 전후 관계가 중요하다.

We believe the Bible is inspired by the Holy Spirit. The revelations Scripture offers are precious to us. But not every word (especially in a translation) has the same impact and value. Words about the passion, death, and resurrection of Jesus or his teachings are more important than words about bird droppings in Tobit or talk about the number of soldiers killed on a given day in some of the stories about battles in war. These lesser words are not useless. But they need to fit into the bigger picture to understand the teaching of which they are a part. Context is important. 


복음의 비유는 간혹 "도덕적 가르침"을 내포한다. 예를 들어 비유하는 말의 지나친 분석은 명료함보다는 무지를 초래할 수 있다. 한 예로 부자에 대한 비유(루가 12:16-21). 그는 자기 곳간에 비해 많은 소출을 거두었다. 그는 더 큰 곳간을 짓기로 하고 축제 기분에 젖었다.- 쉬면서 먹고 마시며 즐겨라!(루가 12: 19). 예수님의 말씀에 귀 기울이는 자들에게는 그런 오만을 경계하도록 경고하고 있다. 죽음은 모든 것을 앗아갈 수 있다. 이해는 각 한마디 말의 분석보다는 전체적인 이야기의 영향으로부터 나온다. 여러분의 곳간 혹은 그 사람이 수확한 작물이 어떤 것인지에 대한 전문가가 될 필요는 없다. 가르침은 급소가 되는 문구에 있다: 그래서 자신을 위해서는 재화를 모으면서 하느님 앞에서는 부유하지 못한 사람이 바로 이러하다(루가 12; 21).

Gospel parables often contain a "moral teaching" to over-analyze each word of a parable, for example, can cause blindness rather than clarity, E,g. The parable about the rich man(Luke 12: 16-21). Jesus warns his listeners to be wary of such arrogance. Death can take everything away. Understanding comes from the impact of the whole story rather than an analysis of each word. You don't need to be an expert on barns or what kind of crops the man harvested. The teaching comes in the punch line: So it is with those who store up treasures for themselves but are not rich towards God (Luke 12: 21).


--- 진리는 본문에서 역사적, 예언적, 시적 양식 또는 다른 화법 드 여러 양식으로 각각 다르게 제시되고 표현되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성서 해석자들은 성서 저자가 제한된 상황에서 그 시대와 문화의 여러 조건들에 따라 당시의 일반적인 문학 유형들을 이용하여 표현하려고 하였고 또 표현한 그 뜻을 연구해야 한다. 성서 저자가 글로써 주장하고자 한 것을 옳게 이해하기 위해서는 당시에 널리 쓰이던 그 지방 고유의 사고방식, 언어방식, 설명방식 그리고 사람들이 상호 교류에서 관습적으로 사용하던 방식들을 면밀히 고려해야 한다. 

The fact is that truth is differently presented and expressed in the various types of historical writing, in prophetical and poetical texts. and in other forms of literary expression. Hence the exegete must look for that meaning which the sacred writers, in given situations and granted the circumstances of their time and culture, intended to express and did in fact express, through the medium of contemporary literary form, Rightly to understand what the sacred authors wanted to affirm in their work, due attention must be paid both to the customary and characteristic patterns of perception, speech and narrative which prevailed in their time and to the conventions which people then observed in their dealings with one another.

제2차 바티칸 공의회

한국 천주교중앙협의회

하느님의 계시에 관한 교의 헌장 '하느님의 말씀'-12절

Dogmatic Constitution on Divine Revelation -Vatican II - Paragraph 12


가톨릭 교리서는 성서를 읽고 이해하는데 대한 지침을 제공한다. 그것은 성서의 일치성을 보고 또 성서를 읽는 것을 교회의 살아있는 전통 - 성서의 진리는 구원의 계획을 알리는데 있어 연계되어 있다는 사실에 민감하다는 것 - 과 관련된 것이라고 한다(참고. 가톨릭교회 교리서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112, #113,#114)

The Catechism of the Catholic Church (CCC) offers guidelines for reading and understanding Scripture. It speaks of seeing the unity of Scripture; reading Scripture as connected to the living Tradition of the Church; being attentive to the fact that the truths of Scripture are linked together in revealing the plan of salvation.(Cf, CCC -#112, #113, #114). 


영감으로 쓰여진 성서의 해석은 무엇보다도 하느님께서 우리의 구원을 위하시어 성스러운 저작물을 통해 드러내고자 했던 것에 세심해야만 한다. 성경으로부터 나오는 것이 "성령의 행위를 제외하고는 완전히 이해되는"것은 아니다(참고, Origen, Hom. In Ex 4,5: PC 12,  320)

Interpretation of the inspired Scripture must be attentive above all to what God wants to reveal through the sacred authors of our salvation. What comes from the Spirit is not fully "understood except by the Spirit's action." (Cf Origen, Hom. in Ex. 4, 5: PC 12, 320)


때때로 우리는 우리가 이미 결정한 것이 옳다는 것을 지지하기 위해 성서의 한 구절을 찾는다. 우리와 일치하는 한 구절을 찾으려고 성서를 찾아 헤맨다. 아마도 성공할 수 있을 것이다. 이런 경우는 우리가 성서에 귀를 기울이는 것이 아니라 성서의 구절이 말하는 것으로 우리가 이미 결정한 것에 같다 붙이는 격이다.

Sometimes we search for a scripture text to support something we have already decided is right. We wander through Scripture to find a text that agrees with us. We will probably be successful. In that case we are not listening to Scripture but rather attaching the scriptural word to what we already decided it should say.


프란치스칸은 반대로 실행한다. 성서에 귀 기울이고 그것이 말하는 바를 선입견에 부합하게 하려고 왜곡시키는 것 없이 적용한다. 성서는 우리에게 회개와 더 심오한 봉헌을 그리고 하느님께서 성서 특별히 복음서를 통해 가르치시는 진실을 배우려는 준비를 요구한다. 우리는 듣고 싶은 것을 말하기 위해 성서를 조작하지 않는다!

Franciscans do the opposite. We listen to scripture and apply what it says to our lives without twisting it to fit a pre-conceived idea. Scripture calls us to conversion, deeper dedication, and a readiness to learn the truth God teaches through Scripture, especially the Gospels. We do not manipulate Scripture to say what we want to hear!


우리 시대에 근본주의자, 복음주의자, 보수주의자, 자유주의자 같은 말과 다른 용어들은 종교적 분위기로 충만해 있다. 여러 의미가 이러한 말에 귀속되어 있다. 때때로 그런 것들이 사람들을 분리시키고 딱지를 붙인다. 다른 시대에는 그런 말들이 어떤 사람의 사고나 견해에 대한 긍정적인 자질로 사용된다. 우리가 그런 말들을 어떤 방식으로 쓰던 간에 대화의 필요성은 있다. 인생이나 신앙 문제에 대한 개인적인 입장은 많은 다른 근원으로부터 우리에게 온다.

In our time words like Fundamentalists, evangelical, conservatives, liberals, and other terms fill the religious air. A variety of meanings are attached to these words. Sometimes they are used to label and isolate people. At other times they are used as a positive quality for someone's ideas and opinions. Whatever way we use them there is a need for dialogue. Personal positions on the issues of life and faith come to us from many different sources.


때로는 우리의 신념은 우리와 가까운 사람들이 믿는 것에 의해 색갈이 윤색된다. 때로는 우리가 믿기에 지금 시대의 현실성과 동 떨어진 사람들의 반대편에 선 사람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다. 세상, 교회 그리고 신앙을 바라다 보는 특별한 방식에 우리를 결국 이르게 하는 문제를 찾고 수단을 다하기 때문에 때때로 우리는 자유주의든 보수주의적인 입장에 의존한다. 우리가 믿는 어떤 사람이 사리에 맞는 논지를 공유하기 때문에 특별한 입장을 포용한다. 우리 혹은 다른 사람이 믿음에 대한 지식이 부족할 수도 있다는 두려움을 완화시키기에 우리는 그런 관점을 수용한다. 자유주의적 혹은 보수주의적인 관점으로부터 우리는 우리의 믿음에서 우리가 안전하다는 확신을 한다. 우리를 보수로부터 자유주의의 연장 선상 어디엔가 놓는 것은 정직을 추구하는 일이다.

Sometimes our beliefs are colored by what people close to us believe. Sometimes they are colored by opposition to people we believe are out of touch with present-day reality. Sometimes we lean to a liberal or conservative stance because we have searched and resourced issues that finally brought us to a particular way of viewing the world, the Church and our faith. Sometimes we embrace a particular stance because someone we trust has shared arguments that make sense to us. Sometimes we accept a perspective because it allays the fear that we or others might lack knowledge about our faith. The liberal or conservative perspective gives us assurance that we are safe in our beliefs. Sometimes i it is an honest seeking that puts us somewhere on the continuum from conservative to liberal.


우리 입장의 "순수함"은 우리에게 보안 조치와 올바름을 제공함과 동시에 무엇인가 부족함도 있을 수 있다. 인간적으로 우리는 믿음이 확실하고 옳기를 원한다. 물론 우리 대부분은 신학적 문헌을 영구할 혹은 신념이 위치에 다다르기 위해 신학적 묵상을 시작할 또는 교회나 세상에서 정치적인 혹은 교회적인 입장에 가톨릭적 접근을 강화할 만한 많은 시간이 있는 것은 아니다. 인간적으로 우리가 서있는 위치를 정해서 다른 쪽이 틀리고 비가톨릭적이고 어리석고 강경하고 오만하며 교회를 망치고 있다는 억측을 하고 있다.

The "purity" of our stance may lack something as well as offering us a sense of security and correctness. Humanly we want to be secure and correct in our faith. Of course, most of us do not have much time to research theological documents; of engage in theological reflection to arrive at our faith stance of to bolster our Catholic approach to political or eccelesial positions in the Church or the worlld. Humanly, we decide where we stand and our presumption is that the other side is wrong or un-catholic or foolish or stubborn or arrogant or are destroying the Church etc. etc. 


프란치스칸은 우리들 사이의 간극이 메워질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다른 쪽은 지배하거나 손이 미치지 않은 곳으로 떠나 보내는 것은 통일성을 이루는데 거의 보탬이 되지 않는다. 삼위일체의 성령을 따르는 프란치스칸은 교회든 세속이든 간에 반대편에 있는 사람과의 관계를 유지하기 위해 가능한 모든 것을 실행한다. 우리가 프란치스칸 생활양식에 서약할 때는 이러한 접근 방식을 선택한다. 우리는 우리와 견해를 달리하는 사람에 대해 존중과 경의를 보여준다. 우리는 옳다고 생각할 때 조차도 다른 사람의 생각이나 견해를 존중하여 결청한다. 우리가 관계를 유지하는 것처럼 미래를 공유할 가능성을 또한 유지한다. 대화가 우리가 공유하는 방식이 된다. 사실 대화가 시작되었을 때 어느 편에서도 기대하지 않았던 결론에 다다를 수도 있다. 개방 정신을 통해 우리는 서로 서로로부터 배울 수 있으며 지배하거나 오만하지 않고 다른 사람들과 공유할 수 있다.

Franciscans recognize that the differences between us need to be bridged. Dominating the other side or dismissing them out- of - hand does little to achieve unity. Franciscans, following a Trinitarian spirituality, do everything possible to maintain relationship we also maintain to possibility of future sharing. Dialogue becomes the way we share. Indeed, we may come to conclusions neither side expected when the dialogue began. The spirit of openness allows us to learn from one another and share with others without dominance or arrogance.


---누구든지 신적 요소가 있으며 사랑과 용서로 사람을 변화시킬 힘이 있음을 신뢰하고, 대화를 통해서 일치와 형제적 화합의 방법을 모색하며해야 한다 

... seeking out ways of unity and fratenal harmony through dialogue, trusting in the presence of the divine seed in everyone and in the transforming power of love and pardon (SFO Ruel #19)

회칙 19조


오만과 비난은 우리 프란치스칸 정신에 부합되지 않는다. 그러므로 우리가 보수적 혹은 자유적 견지를 우연히 가지든 간에 우리는 다른 삶으로부터 배울 수 있다는 가능성에 개방되어 있다. 진정한 대화(예를 들면 경청과 말하기)는 서로에게 하는 대화에서 우리의 모범이다. 우리가 대화할 때는 그 대화가 우리를 어디로 이끌지 확실치 않다. 우리가 서로 서로에게 공손하고 존중하면 성령의 인도를 신뢰한다. 우리가 일치감을 성취하기 위해 기도하는 시간이 필요하다면 그런 시간을 가져야 한다. 대화하는 시간이 더 길어지면 일치에 대한 그리스도의 부르심이 무시되지 않을 것이기 때문에 우리는 더 많은 시간을 투자할 것이다. 성서의 구절은 일반적 묵상을 위한 클럽이 아니라 공통으로 사용될 것이다.

Arrogance and name-calling do not fit our Franciscan vision. Hence, whether we happen to have a conservative or liberal slant, we are open to the possibliity that we can learn from one another. True dialogue( i,e. listening and speaking) is our pattern in conversations with one another. When we dialogue we are not certain where the conversation will lead us. We trust the Holy Spirit's guidance if we are reverent to and respectful of one another. If we need to take prayerful time to achieve a sense of unity, prayerful time will be taken. If the dialogue takes more time, we will invest more time because Jesuss'  call for unity will not be ignored. Scripture texts will not be used as a club but as an invitation ofr common reflection.


남을 위하여 더 많은 일을 하면 할수록 "저희는 쓸모 없는 종입니다"(루가 17:10)라고 말하라 하신 그리스도의 말씀을 우리는 더욱 잘 이해하고 받아들일 수 있게 됩니다. 우리가 잘났거나 훨씬 뛰어나서가 아니라. 주님께서 우리에게 그렇게 할 수 있도록 은총을 주셨기 때문에 봉사한다는 것을 우리는 알고 있습니다.

The more we do for others, the more we underestand and can appropriate the words of Christ: "We are useless servants" (Luke 17: 10). We recognize that we are not acting on the basis of any superiority or grater personal efficiency, but because the Lord has graciously enabled us to do so.

하느님은 사람이십니다(Deus Caritas Est)-교황 베네딕트 16세의 회칙

God is Love(Deus Caritas Est)- Benedict XVI- Parapraph 35

한국천주교주교회의 -35절


우리의 신앙에 대한 지식이 더 명확해짐에 따라 대화는 우리가 믿는 바를 버린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을 것이다. 대신에 우리는 우리 자신과 다른 믿음을 가진 사람들 간에 이해를 창조해 내는 방식으로 우리의 신앙을 공유하는 것을 배운다. 우리는 구두 혹은 그 반대의 폭력 없이 대화를 허락하며 환영적인 분위기를 만들어 낸다. 관계있는 분위기를 통해 우리는 심지어 다른 믿음을 가지고 있을 때 조차도 같이 일을 하게 된다. 이러한 분위기에서 성령은 회개의 일을 자유롭게 이루어 낸다. 오만한 주장과 혹평은 보통 우리들을 분리시키고 관계의 문을 닫는다. 프란치스칸이 아닌 가톨릭 신자는 신앙을 공유하는 다른 방식을 따를 수도 있다. 프란치스칸은 관계를 유지하거나 다른 사람을 우리의 믿음으로 끌어 들이는데 거의 혹은 아무 것도 가산되지 않는 오만을 피한다.

As knowledge of our faith becomes more clear, dialogue will not mean abandoning what we believe. Instead, we learn to share our faith in such a way that we create understanding between ourselves and people of other beliefs. We create a welcoming atmosphere that allows us to dialogue without violence, verbal or otherwise. A relational atmosphere allows us to work together even when we hold differing beliefs. In this atmosphere the Holy Spirit is free to achieve the work of conversion. Arrogant arguments and put-downs usually separate us and close the door to relationships. Catholic who are not Franciscans may follow different ways of sharing the faith. Franciscans avoid arrogance which adds little or nothing to maintaining relationships or attracting others to our faith.


성서에 대한 근본주의자들의 이해는 성서학자들의 몇 가지 훌륭한 도구를 무시할지도 모른다. 그들은 성서를 읽고 메시지를 문자 그대로 받아드리려는 충실한 접근법을 가질 수도 있다. 이런 문자 그대로 해석은 책임 있는 성서학자들의 작업과 수 세기에 걸친 성서 해석을 옆에 제쳐 놓는다. 근본주의자들은 그들의 삶을 안내하는 개인적 해석에 의존할지도 모른다. 오로지 그들 자신의 해석만으로 보잘것 없는 결론에 이룰 수 있다.

Fundamentalist  understanding of Scripture may ignore some good tools of Scripture scholars. They may have a literal approach, accepting the translate message just as they read it. The literalism leaves aside the work of responsible scripture scholars and centuries of interpretation of the Scriptures. Fundamentalists may rely on private interpretation to guide their lives. With only the authority of their own interpretation they may come to tenuous conclusions. 


근본주의자들은 자기들이 성서의 올바른 해석이라고 믿는 것에 충실할 수 있다. 만약에 그들이 하느님의 사랑에서 사람들을 배척하는 듯한 원문을 발견하면 그들은 그렇게 한다. 그렇지 않고 각자의 의문이 그들로 하여금 사람들을 포용할 수 있도록 이끌 수도 있다. 그러면 그들은 그렇게 한다. 개인적 해석에 우선권이 있기 때문에 근본주의자들은 그들 가운데서도 많은 신학적 차이를 가질 수 있다. 그들의 해석이 어떠하든 간에 그리고 성서의 자기 해석에 충실하려는 그들을 인식하고 프란치스칸은 모욕이 아니라 사랑으로서 그들에 접근해야 한다.

Fundamentalists can be faithful to what they believe is a proper interpretation of Scripture. If they find texts that seem to exclude people from God's love they also exclude them. Or an individual text many invite them to embrace people and they do embrace them. Since private interpretation has a priority, fundamentalists may have many theological differences among themselves. Whatever their interpretation, and recognizing their desire to be faithful to their interpretation of Scripture, Franciscans approach them with love, not insults.


성서의 직역주의에 대응하여 교회는 "성경은 하느님이 우리의 구원을 위하여 성경을 확고하게 성실하게, 그르침 없이 가르친다는 것을 고백해야 한다."(하느님이 말씀-제 2차 바티칸 공의회-11번)동시에 교회의 성서 해석자는 문화적인 형태- 예를 들면 성서에 쓰여져 있는 시, 상징, 우화, 역사, 성가 혹은 기도- 에 주의할 필요가 있다는 것을 인식한다. 성경 해석자는 "성경 저술가가 제한된 범위 안에서, 그 시대와 문화 조건하에서 또한 당시에 사용하던 문체의 종류를 이용하여 표현하려 했고, 또 사실 표현한 그 뜻을 알아야 한다."(하느님의 말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 -12번)

In response to biblical literalism, the Chruch holds that "the books of Scripture firmly, faithfully and without error, teach that truth which God, for the sake of our salvation, wished to see confided to the sacred Scriptures: (Dei Verbum -Vatican II -No 11). At the same time, the Church recognizes that the interpreter of Scripture needs to attend to the literary forms. -such as poetry, symbol, parable, history, song, or prayer - in which the Bible is written. The interpreter "must look for that meaning which the sacred writer... given the circumstance of his time and culture, intended to express and did in fact express, through the medium of a contemporary literary form".(Dei Verbum -Vatican II-No 12) 

성인용 미국 가톨릭 교리서- 미국 가톨릭 주교회의 -30쪽

United States Catholic Catechism for Adults _USCCB -Page 30 


근본주의자가 획일적인 공동체가 아니듯이 복음주의 역시 획일적인 공동체가 아니다. 그들 가운데는 여러 가지 미묘한 차이가 있다. 복음주의자의 얼마는 성서에 대한 그들의 반응에 있어 엄격히 종교적인데 기본적으로는 개별적 종교 의식에 대해 관심을 갖는다. 가난한 자와 소외 받는 자에 대한 관심이 복음주의자들 간에 증가되고 있다.

Evangelicals are not a monolithic community any more than fundamentalists are. There are many shades of difference among them. Some are strictly religious in their response to Scripture, basically concerned about private religious practices. Others develop a concern for social issues that need to be addressed. Concern for the poor and marginalized is growing among evangelicals.


여기서 다시 그들과 대화에 임할 때 개인 혹은 집단 복음주의자의 입장을 이해하려고 노력하라. 가톨릭은 확실히 교조적 공동체가 아니듯이 복음주의 역시 아니다. 대화를 시작할 때 사람과 영역을 알아라. 가정과 억측은 훌륭한 대화에 장애가 될 수 있다.

Here again, try to understand the position of any individual or group of evangelicals when entering into dialogue with them. Just as Catholics certainly are not a monolithic group. neither are evangelicals. Know the people and the territory as you engage in dialogue. Assumptions and presumptions can be roadblocks to good dialogue.


프란치스칸으로의 불림은 사람에 대하여 존중하는 접근법이 요구된다. 우리는 적이 되지 않고 대화를 할 수 있다. 우리는 서로 서로 에게서 떨어지지 않고도 의견 불일치에 이룰 수 있다. 그러나 규칙적인 대화를 함으로써 그런 태도나 관점에 이룰 수 있다. - 효력 있다! 우리는 논쟁에서 이기거나 혹은 우리가 얼마나 똑똑한지를 보여 주려하기 보다는 다를 사람을 우리는 신념으로 이끌려는 선택을 한다. 다른 사람에게 그런 태도를 남긴다.

Franciscans are called to a respectful approach to people. We can dialogue without becoming enemies. We can disagree without having to separate from one another. But achieving that attitude and perspective takes regular conversion- and work! We choose to attract others to our beliefs rather than winning arguments or trying to show how smart we are. Such attitudes we leave to others. 


성부께서 수많은 형제들의 맏이이신 성자의 모습을 각 사람 안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회원도 모든 사람을 주님의 선물이자 그리스도의 모상으로, 겸손하고 인간답게 받아들일 것이다. -회칙 13조-

As the Father sees in every person the features of his Son, the firstborn of many brothers and sisters, so the Secular Franciscans, with a gentle and courteous spirit, accept all people as a gift of the Lord and an image of Christ. (SFO Rule #13)


프란치스칸은 삶과 말로 믿음을 공유하려는 욕구가 있다. 그렇게 할 때 우리는 그런 공유가 세상에서 하느님의 나라를 건설함을 의미한다는 것을 인식하고 있다. 그것은 다른 사람을 끌어들이는 한 방법으로 우리의 비전을 공유함을 의미한다.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칙은 복음화의 목표에 통찰력을 제공한다: 하느님 나라를 실현하기 위해 세상은 더욱 형제적이고 복음적인 것으로 건설하도록 --- (회칙 14조)

Franciscans desire to share the faith both by life and words. In doing so we recognize that such sharing is meant to build the Kingdom of God in the world. It means sharing our vision in a way that attracts others. The SFO Rule offers an insight into the goal of evangelization: ... to build a more fraternal and evangelical world so that the kingdom of God may be brought about more effectively(SFO Rule #14)


이런 일에 도움이 되는 많은 교재와 연수회가 있다. 복음화하는데 있어서 당신의 기량에 도움이 되는 프로그램을 이용하라.

There are many texts and workshops to help in this task. Make use of programs that can aid your skills in evangelizing.


1975년에 교황 바오로 6세께서 '현대 세계에서 복음화에 관해' 라고 명명된 성직자에게 보내는 서한을 쓰셨다. 전문을 읽어 볼 가치가 있다 교황 바오로 6새로부터의 몇몇 인용문은 복으화가 무엇인지에 대한 직관을 제공한다.

In 1975 Pope Paul VI wrote an encyclical titled: Evangelii Numtiandi -On Evangelization in the Modern World. It is worthwhile to read the entire text. But some quotations from Paul VI give a sense of what evangelization is about.


교회로서는 복음 선교의 기쁜 소식을 인류의 모든 계층에 까지 전해 주어 "보아라. 내가 모든 것을 새롭게 만든다"(묵시 21,5)고 한 것과 같이 그 힘으로 인류를 내부로부터 변화시켜 새롭게 하는 것이라고 생각한다. 그러나, 만일 세례를 받아 새 생명을 받고 복음적인 생활로 세로워진 사람이 없었다면 새로운 인류는 태어나지 않을 것이다(에페 4, 23-24, 고린 3,9-10) 그러기에 복음 선교의 목적은 이 내적 변화의 성취에(로마 1: 16, 1고린1: 18, 2,4)두고 있다고 하겠다. 한마디로 표현해서 교회가 선포하는 메시지의 신적 능력으로 모든 개인과 집단의 양심, 그들이 관계하고 있는 활동, 그들의 생활과 구체적 환경을 변혁시키려고 노력할 때 교회는 복음 선교를 하고 있다고 하겠다. 

For the Church, evangelizing means bringing the Good News into all the strata of humanity from within and making it new. "Now I am making the whole of creation new.(Revelation 21.5). But there is no new humanity if there are not first of all new persons renewed by Baptism and by lives lived according to the Gospel(Ephesians 4: 23-24- Colossians 3: 9-10). The purpose of evangelization is therefore precisely this interior change, and if it had to be expressed in one sentence the best way of stating it would be to say that the Church evangelizes(Romans 1: 16/1 Corinthians 1:18, 2:4)When she seeks to convert solely through the divine power of the message she proclaims, both the personal and collective consciences of people, the activities in which they engage, and the lives and concrete milieu which are theirs. 

현대의 복음 선교-교황 바오로 6세의 권고

한국천주교 중앙협의회 18절

Envangelization in the Modern World - Paul VI- Paragraph 18


교황 바오로 6세께서 좋은 소식을 효과적으로 다른 사람과 공유하는 것에 대한 결과를 반영하기 위해 계속 생각하고 계신다.

Pope Paul VI goes on to reflect on the results of sharing the good news with others in an effective way.


--- 복음화된 사람은 또한 남을 복음화시켜야 한다. 그것은 진리에 대한 증거요 복음 선교의 시금석이 되는 것이다. 하느님 말씀을 받아 들이고, 하느님 나라를 위해 헌신해야 할 사람 자신이 복음의 증거자가 되지 못하고 선교하는 사람이 되지 못한다는 것을 생각할 수 없다.

... the person who has been evangelized goes on to evangelize others. Here lies the test of truth, the touchstone of evangelization: it is unthinkable that a person should accept the Word and give himself to the Kingdom without becoming a person who bears witness to it and proclaims it in turn.


지금까지 말한대로 복음 선교는 여러 가지 요소로 성립되는 복잡한 과정이다. 그러한 요소들이란 인류의 쇄신, 복음적 생활의 증거, 명백한 교리 전달, 마음의 귀의, 공동체에 대한 참가, 성사배령, 사도직 활동 등이며, 이 모두는 배타적인 것처럼 보이지만 실은 상호 보완적인 것이다. 따라서 상호 관계하에서 각 요소를 고찰해야 한다.

....Evangelization, as we have said, is a complex process made of varied elements: the renewal of humanity, witness, explicit proclamation, inner adherence, entry into the community, acceptance of signs, apostolic initiative. These elements may appear to be contradictory, indeed mutually exclusive. In fact they are complementary and mutually enriching. Each one must always be seen in relationship with the others.

현대의 복음 선교-교황 바오로6세의 권고

한국 천주교중앙협의회 -24절

Evangelization in the Modern World - Paul VI- Paragraph 24


프란치스칸으로 불림 받은 것은 교회를 세우고 혹은 재건을 하도록 요구된다(하느님의 사람들). 오만해지고, 마치 우리가 개인적으로 오류가 없는 것처럼 행동하고, 사람들이 무지하거나 어리석음을 느끼는 방법을 찾는 것은 역효과가 날 것이다. 이런 행동의 어떤 것도 더 좋은 관계를 정립시킬 수 없다. 프란치스칸은 의미 있는 대화를 가질 방범을 지속적으로 찾는다. 우리는 같이 대화를 하려하는 사람을 압도하거나 모욕을 주는 도구 사용은 피한다. 회원은 완전한 기쁨의 선포자임으로 어떤 처지에서든지 다른 이들에게 기쁨과 희망을 가져다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회칙  19조)

Franciscans are called to build or re-build the Church(The People of God). It would be counter-Productive to become arrogant, to act as though we are individually infallible, or to find ways to make people feel ignorant or stupid. None of these actions establish better relationships. Franciscans consistently search for ways to have a meaningful dialogue. We avoid using tools that overwhelm and denigrate the people with whom we seek to have conversations(dialogue). Messengers of perfect joy in every circumstance, they should strive to bring joy and hope to others (SFO Rule #19)


성서는 항상 우리의 삶에 현존한다. 하느님의 말씀은 신앙 혹은 성서적 해석, 살아가는 방법, 인생에서 도덕적 자세를 계발하는 방법, 하느님 그리그 하느님의 유일한 아들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알아가는 방법, 왜 사랑이 그렇게 중요하고 또 왜 가난은 프란치스칸의 마음에 특별한 위치를 차지 하고 있는지에 대한 대화 속에 떠다닌다.

Scripture is always present in our lives. God's word hovers in conversations about faith or biblical interpretations, or how to live, or how to develop a moral stance in life or how to get to know God and God's only Son, Jesus Christ, or why love is so important, or why the poor hold a special place in the heart of Franciscans.


성서에 하느님의 계시가 없다면 우리의 신앙은 무익하고 단지 인간적일 것이다. 단위 형제회 --- 교회의 의식과 프란치스코의 성소를 진작시키고 회원은 사도적 생활에 활기를 주기 위한 특전적인 모임이 되어야 한다(회칙 22조). 성서에 대한 우리의 사랑은 하느님의 말씀을 우리 삶에 특별한 위치를 차지한다.

Our faith would be barren and only human were it not for God's revelation in Scripture. The Local Fraternity  ... should be a privileged place for developing a sense of Church and the Franciscan vocation and for enlivening the apostolic life of its members(SFO Rule #22). Our love for Scripture gives the Word of God a special place in our lives.


그러나 이것이 "성서"에 성당을 짓자는 이야기가 아니다. 만약에 지어질 성당이 있어야 한다면 복음으로 살아가는 방식을 통해 건축된다. 그렇지 않으면 "뻣속에 고기 없는" 단순한 지적 운동이 될 뿐이다. "고기"는 우리가 살고 있는 인생 속에 있다. "복음에 따라 살때"우리는 그 목표 --- . 세라핌적 사부의 은사를 교회 안의 생활과 사명에서 실현하는 것을 지향한다(회칙 1조). 프란치스칸은 모든 피조물을 "형제와 자매"로 부르며 성 프란치스코의 정신을 이해하면서 그 목표를 지향한다.

But this is not just about making shrines to "The Book." If there are shrines to be built they are built through our manner of living the Gospel. Otherwise it becomes a simple intellectual exercise with "no meat on the bones." The "meat" is in the life we live. When we "live the Gospel" we fulfill the goal ... to present the charism of their common Seraphic Father in the life and mission of the Church(SFO Rule #1). Franciscans are committed to that goal. grasping the spirit of St. Francis who addressed all of creation as "brothers and sisters."


그러므로 나의 모든 형제들에게 훈계하며 그리스도 안에서 격려합니다. 어디서든지 기록된 하느님이 말씀을 발견하게 되면, 할 수 있는 최대의 경의를 표현해야 합니다. 그리고 그것들이 잘 정돈되어 있지 않거나 혹 불경스럽게 흩어져 있으면 주워 모아서 보관하여 "그 말씀을 하신" 주님을 말씀 안에서 공경하십시오. 사실 하느님의 말씀으로 많은 것들이 거룩하게 되며, 그리스도의 말씀의 힘으로 제단의 성사가 이룩되기 때문입니다.

I therefore, admonish all my brothers and encourage them in Christ to venerate, as best they can, the divine written words wherever they find them. If they are not well kept or are carelessly thrown around in some place, let them gather them up and preserve them, inasmuch as it concerns them, honoring in the words the Lord "Who spoke them." For many things are made holy by the words of God and the sacrament of the altar is celebrated in the power of the words of Christ.

전 수도회에 보낸 편지

아시시의 프란치스코 -성인-1권-119쪽

A Letter to the Entire Order

Francis of Assisi -The Saint - Vol 1- Page 119


우리는 황금으로 만들어 지지 않은 보화를 가지고 있다.

We hold a Treasure Not Made of Gold


재화

사람은 재화로 무엇을 하는가?

삶은 복권으로 탄 상금을 어떻게 쓰는가?

우리는 그냥 우리 자신을 위해 더 많이 얻는가?

우리는 재화를 공유하는가?


간직하는가?

더 얻으려고 투자하는가?

안전을 위해 사용하는가??

그것으로 집을 짓는가?

그것으로 토대를 세우는가?

그것을 묻어 버리는가?

A treasure.

What does one do with a treasure?

How does someone spend lottery winnings?

Do we just get more for ourselves?

Do we share our treasure?

hoard it?

Invest it to get more?

Use it for security?

Build houses with it?

Establish foundations with it?

Bury it?


보화가 삶의 방식이라면 어찌 될 것인가?

보화가 삶을 인도하는 내적 묵상하는 마음처럼 무형의 그 무엇이면 어찌될 것인가?

만약에 그것이 공동체 사회로 인도하는 일반적인 관심이면 어찌될 것인가?

만약에 보화가 같이 기도하고 복음에 충실하려 한다면 어찌될 것인가?

만약에 그것이 과정을 계속하기 위해 규칙적으로 모이는 것을 의미하면 어찌될 것인가?

일들이 인생에서 잘못되어 갈 때 그것이 우리에게 평화를 주면 어찌될 것인가?

What if the treasure is a way of living?

What if the treasure is something intangible

Like on inner contemplative spirit that guides live?

What if it is a common concern

that leads to community?

What if the treasure is praying together, 

seeking to be faithful to the Gospel?

What if it means getting together regularly

to keep on course?

What if the treasure gives us peace

when things go haywire in life?


만약에 그것이 우리가 하느님의 필요성을 인식하는지를 묻는 가난 부인이면 어찌 될 것인가?

만약에 보화가 그리스도이시고 우리 속에 그리스도의 상령이 머무름이면 어찌될 것인가?

보화가 프란치스코 혹은 아시시의 글라라와 같은 사람일 수도 있다.

그것이 환대와 동정심을 보여주는 옆집 사람일 수도 있다.

What if the treasure is Lady Poverty 

who asked that we recognize our need of God?

What if the treasure is Jesus

and Jesus' Spirit dwelling in us?

The treasure could be someone like 

Francis or Clare of Assisi. 

It could be people next door

who show hospitality and compassion 


불행을 당한 그리고 길거리서 사는 사람일 수 있다.

보화를 찾는 보잘것없는 장소처럼 보일 수 있다.

그러나 놀랍게도 바로 거기에 있다!

It might be folks down on their luck  living on the streets.

It seems a poor place to 

look for treasure.

But surprisingly, there it is!


축적된 행복을 발견하려 하는 것을 잃어 버린 세계에서 성서는 물건의 지배로부터

자유로이 진정한 보화를 제공한다.

희망이 어찌할 도리 없이 다다를 수 없는 세계, 여기에서 우리는 그리스도와의 영적

교류와 복음을 통해 희망을 제공한다.

In a world often lost in trying

to find happiness in accumulation,

Scripture offers the real treasure

in freedom from domination by things.

In a world where hope seems hopelessly out of reach,

here we are, offering hope through

communion with Jesus and his Gospel.


만약 우리가 지각 있는 현실주의자라면 기꺼이 성서에서 발견한 것을 공유한다.

우리는 대화할 사람과 프란치스칸 유산을 공유한다.

If we are sensible realists,

we willingly share what we find in Scripture.

We share our Franciscan heritage

with anyone who will dialogue.


우리는 우리의 생활양식에 사람들을 불러들입니다.

우리는 그들과 이야기를 공유한다.

우리는 그들에게 우리의 가치에 대해 그리고 우리가 어떻게 평화, 영적 교류 및 기쁨을

창조하려고 노력하는지를 이야기 한다.

우리는 그들의 질문에 답하며 성령이 우리에게 합류할 부름으로 그들을 감동시킬 수 있도록

혹은 어떤 면으로는 복음을 따르도록 허락한다.

We invite folks to our way of life.

We share stories with them.

We tell them of our values

and how we seek to create

peace, communion, and joy.

We answer their questions

and allow the Holy Spirit to touch them

with a call to join us, or at least

to follow the Gospel in some way.


우리가 사랑하는 것을 공유하는 것은 프란치스칸 삶을 살아가는 다른 부분이다.

모든 프란치스칸은 그렇게 하도록 요청되고 하느님의 부르심의

경이로움을 형제 자매들 공유할 수 있다.

Sharing what we love is another part of living 

our Franciscan life.

Every Franciscan is called to do it,

and is able to share his/her

story of wonder at God's call.


결국 우리가 사는 세상은 많은 도움을 필요로 한다.

충실한 프란치스칸이 되는 것은 그런 도움을 주는 한 방식이다.

누가 성 프란치스코, 성녀 글라라, 그리스도와 복음을 따르는 자들의

영역을 넓히고 싶지 않겠는가?

After all, our world needs lots of help.

Being faithful Franciscans

is one way of giving that help.

Who wouldn't want to widen

the circle of those who follow

Francis and Clare and Jesus

and the Gospel?


우리가서로 서로 사랑하게 될 때 발견한 재화를 공유하는 것은 자연스럽다.

그리고 하느님께서 재화를 찾아내는 새롭고, 헌신적인 제자를 발견하여

"좋은 소식"을 널리 알리게 하소서 아멘.

Sharing the treasure we have discovered

seems natural when we love one another.

And may God find new, dedicated disciples

who have discovered the treasure

and want to spread the "Good News." Amen


+++


대화를 위한 독서/질문

Readings/Questions for dialogue


성서의 해석

성인용 미국 가톨릭 교리서

27-31쪽

Interpretation of Scripture

United State Catholic Catechism of Adults

Page 27-31


현대의 복음선교

교항 바오로 6세의 권고 한국천주교중앙협의회 21-23절

On Evangelization in the Modern World

Paul VI -Paragraphs 21-23


하느님의 찬양

아시시  프란치스코 -성인 1권-109쪽

The Praises of God

Francis of Assisi -The Saint -Vol 1 -Page 109


1. 왜 성경이 프란치스칸에게 중요한가?

Why is the Bible important to Franciscans?

2. 당신은 이 장을 읽고 성서에 대한 어떤 통찰력을 얻었는가?

What insights did you get by reading this chapter on Scripture?

3. 왜 프란치스칸은 자기들의 의견이 일치하지 않을 수 있는 사람들을 다룸에 있어 개방성과 환대의 분별력을 수용하는가?

Why do Franciscans embrace a sense of openness and welcoming in dealing with others who may not agree with us?

4. 성서의 훌륭한 해석을 위해 필요한 것에 대해 당신이 이해하고 있는 바를 설명해 보세요? 이것이 왜 중요한가요?

Explain your understanding of what is needed for a good interpretation of Scripture. Why is this important?

5. 우리가 생각하고 있는 바와 다르게 생각한 사람들과 대화를 함에 있어 어떠한 태도를 보여야 하는가?

What attitude should we show in conversations with people who think differently than we do?

6. 어떤 사람을 분류하는 가치는 예를 들면 보수주의자. 자유주의자, 근본주의자, 복음주의자 등등 무엇인가?

프란치스칸은 그런 부류를 어떻게 다루는가?

What is the value of labeling someone e,g. as conservative, liberal, fundamentalist, evangelical etc. How do Franciscans deal with such labeling?

7. 당신 인생에 "보배"가 되는 몇가지를 열거해 보라. 그것들이 당신과 당신의 인생과 결부된 사람들에게 어떤 가치를 가져다 주는가? 어떤 것이 유지할 가치가 있고 어떤 것이 버릴 수 있는지를 볼 수 있도록 평가해 보라.

Name some "treasures" in your life. What value do they bring to you and the people in your life? Evaluate them to see what is worth keeping and what can be discarded.

8. 성서 묵상: 요한 복음 1:1-18. 예수님에 관한 어떤 진리가 이 원문에 포함되어 있는가? 18절은 우리가 복음에 헌신하는 것과 어떻게 관련이 있는지를 설명하라.

Scripture reflection: John 1:1-18. What truth(s) about Jesus are contained in this text? Explain how verse 18 relates to the our dedication to the Gospel?


+++


아주 좋은 소식

Very Good News


프란치스코는 복음 전체 

- 마태 복음서, 마르코 복음서, 

루가 복음서, 요한 복음서 그리고 나머지 모두 - 를 믿었다.

Francis believed the Gospel.

The Whole thing -Matthew, Mar,

Luke, John and all the rest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길 "무엇을 먹을까 걱정하지 말라(마태 6:31) ---"

그래서 프란치스코는 먹을 것에 대해 걱정하지 않았다.

`Jesus said: "Do not worry over what to eat..."

And Francis didn't.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길 "누구든지 내 뒤를 따라오려면, 

자신을 버리고 제 십자가를 지고 나를 따라야 한다."(마태 16: 25)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프란치스코는 그렇게 하셨다.

Jesus said: Whoever wishes to follow me,

let him deny himself"

And Francis did.


예수님께서 말씀하시기를 "길을 떠날 때는 아무것도 지니지 마라"마태 10:10)라고 말씀하셨다.

그래서 프란치스코는 아무것도 지니지 않았다.

Jesus said: 
 ... Take nothing with you on the way."

And Fracis didn't.


극단적으로 단순하게 심지어 불가능하게 들리고 

잘해야 -우스꽝스럽다고 그렇게 말하지 않았느냐?

당신이 무엇이라고 말하던 간에

프란치스코가 사물을 바라다 보았던 방식으로 일해야 한다.

It sounds simplistic, even impossible,

or at best - ridiculous, wouldn't you say?

No matter what you say, it happens to be

the way Fra=cis saw things.


프란치스코를 따르면

전 복음서를 진지하게,

희석하여 말하지 않고, 벗어나 해석하지 않고,

무시되지도 또 지나치게 의지하지 않고

복음이라는 좋은 소식 전체를

포옹으로 받아들이는 것이 살아있는 복음이다.

It is Gospel living 

according to Francis,

taking the whole Gospel seriously.

Not watered down, not interpreted away.

not ignored  nor pushed aside,

but embracing

the whole GOOD NEWS call Gosp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