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약 총정리
"이것을 실행하는 사람은 누구나 하늘에서는 지극히 높으신 아버지의 축복을 충만히 받고, 땅에서는 지극히 거룩하신 위로자 성령과 사랑하시는 아드님의 축복을 충만히 받기를 비는 바입니다." (성 프란치스코의 유언에서)
회칙
"______ 다하고 ______ 다하고 ________ 다하고 힘을 다하여"(마르 12,30) 주님을 _________하고, "자기 이웃을 자기 자신처럼 사랑"(마태 22,39) 하고, ________________ 과 더불어 자신들의 육신을 미워하며,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몸과 피를 받아 모시고, ______ 의 합당한 열매를 맺는 사람들. 오, 그런 일을 실행하며 __________ 하는 남녀 모든 이들은 얼마나 복되고 얼마나 __________사람들인지! "주님의 영이 그들 위에 내리고"(이사 11,2), 주님이 그들을 "거처와 집으로 삼으실 것이며"(요한 14,23), 그들은 아버지의 _______ 하기에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_______ 이고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_______ 이요 _______요 _________이기 때문입니다(참조: 마태 12,50).
믿는 영혼이 성령 안에서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와 일치할 때 우리는 그분의 ________ 입니다. 우리가 "하늘에 계신 아버지의 뜻을"(마태 12,50) 실천할 때 우리는 그분에게 ________ 됩니다. 우리가 거룩한 사랑과 순수하고 진실한 양심을 가지고 우리의 몸과 마음에 그분을 모실 때 우리는 그분의 _________ 됩니다. 표양을 보여 다른 사람들에게 빛을 비추어야 할 거룩한 행실로써 우리는 ___________ 됩니다.
제_________조
성령께서 교회 안에 이룩하신 영적 가족 가운데 프란치스코의 가족은 ____________________ 발자취 안에서 그리스도를 따르도록 불리운 하느님 백성의 모든 지체 곧 평신도, 수도자, 사제들을 하나로 모은 것이다.
이들은 방법과 형식은 다양하지만, 활기에 찬 상호간의 친교로 __________사부의 은사(Charisma)를 교회 안의 생활과 사명에서 실현하는 것을 지향한다.
제______조
재속 프란치스코회는 프란치스코의 가족 중에서 _______________를 가지며, 온 세계에 퍼져있고 모든 신자들 그룹에 개방되어 있는 가톨릭 형제회의 ____________________이다.
이 형제 자매들은 각자 _____________으로 사랑의 완성을 위하여 __________ 인도되어, 서약으로 _________인가한 이 회칙에 따라, 성 프란치스코처럼 ________________을 추구한다.
제 _______ 조
이 회칙은 "생활 지침"(Memoriale Propositi, 1221년)과 ____________ (1289년)와 ________________(1883년) 교황 성하께서 인준하신 회칙에 이어 재속 프란치스코회를 변천하는 시대 상황 속에서 성 교회의 요구와 기대에 부응하게 하려는 것이다.
이 회칙의 해석은 __________ 하고, 그 적용은 _________________ 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__________조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원의 회칙과 생활은,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________을 따라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의 _______________하는 것이다. 성 프란치스코는 하느님과 사람들과의 관계에 있어 그리스도를 당신 생활에 __________________중심으로 삼으셨다.
그리스도는 성부께서 주신 _______________ 아버지께로 나아가는 _________이며, 우리가 성령을 통해 도달하는 _______이며, 삶의 충만함을 주려고 온 __________이시다.
회원은 특별히 복음을 자주 읽어서 ________________________ 나아가야 한다.
제_________조
그러므로 회원은 ________ 가운데서, ____________ 안에서, 그리고 ________안에서, 살아계시고 활동하시는 _________를 발견해야 한다.
"주님의 지극히 거룩한 몸과 피가 아니고서는 이 세상에서 하느님의_______________________을 내 육신의 눈으로 결코 보지 못한다"고 말씀하신 성 프란치스코의 믿음이 회원의 ____________________에 대한 영감이 되고 본보기가 되어야 한다.
제______조
회원은 세례성사로써 그리스도와 함께 묻혔고 그 분과 함께 부활하여 교회의 ___________가 되었으며, 서약함으로써 교회와 더욱 친밀히 ______하게 되었으므로, __________ 그리스도를 선포함으로써 사람들 가운데서 교회의 사명에 대한 ____________가 되어야 한다.
성 프란치스코에게서 영감을 받고, 또 그 분과 함께 ___________________ 불리운 회원은, 사도적 결실을 풍부하게 하기 위하여 신뢰와 개방적인 대화로써 __________________________전적인 친교 안에서 살도록 열심히 노력해야 한다.
제______조
"____________________"로서 회원은 자기 성소 때문에 복음의 강력한 힘에 자극받은 절대적이고 완전한 __________에 의하여 자신의 _________________을 그리스도와 일치시켜야 한다. 복음은 이것을 __________라고 한다. 인간의 나약성 때문에 이 회개는 ___________이루어져야 한다.
이 자기 쇄신 과정에서 화해성사는 성부의 자비심의 특별한 표지이고 ___________이다.
제______조
예수께서 성부의 참 흠숭자이셨던 것과 같이 회원도 _____________이 자신의 온 존재와 활동의 _______이 되도록 해야 한다.
회원은 교회의 성사 생활, 특히 _______________에 참여하고, 교회가 제정한 형식에 따라 전례기도에 참여함으로써, 그리스도 _______________를 재현해야 한다.
제______조
동정 마리아는 주님의 ___________이시며, 주님의 말씀과 그 모든 부르심에 흔연히 _________이시다. 그분은 성 프란치스코에게서 형언할 수 없는 사랑으로 ________를 받으셨고, 프란치스코는 그분을 가족의 _________________로 선언하셨다. 회원은 성모 마리아의 전적인 헌신을 본받고, 신뢰의 기도를 열심히 바침으로써, 성모께 대한 _____________을 보여야 한다.
제______조
회원은 성부께 당신의 의지를 의탁하신 예수님의 _________________을 본받아, 다양한 생활 환경에서 ____________에 따르는 자신의 의무를 충실히 수행해야 한다.
그리고 회원은 곤란과 박해 중에도, _________________함으로써, 가난하고 십자가에 못박히신 그리스도를 따라야 한다.
제________조
성부를 신뢰하신 그리스도께서는 피조물을 관심있게 또 좋게 보셨지만 당신과 당신의 어머니를 위해서는 _________________을 택하셨다.
이와 같이 회원은 _____________를 줄임으로써 현세의 재물로부터 벗어나고 사용에 있어서도 ____________________할 것이며, 복음에 따라 자신은 하느님 자녀들을 위해 받은 ________________임을 잊지 말아야 한다. 그러므로 회원은 '진복 8단'의 정신으로 아버지의 집으로 향하는 "________________________"와 같이, ________________________및 그러한 모든 경향에서 마음을 깨끗이 해야 한다.
제__________조
회원은 __________의 증인으로서, 그리고 자신이 받은 _______ 때문에, ____________ 할 의무가 있다. 그리하면 자유롭게 하느님과 형제들을 사랑할 수 있게 될 것이다.
제__________조
성부께서 수많은 형제들의 맏이이신 성자의 모습을 각 사람 안에서 보시는 것과 같이, 회원도 모든 사람을 _____________이자 그리스도의 모상으로, 겸손하고 ____________ 받아들일 것이다.
회원은 ___________________으로 모든 사람들, 특히 가장 보잘 것 없는 사람들과 함께 하는 것을 기뻐하며, 또 함께 하도록 할 것이다. 그리고 회원은 그들을 위해서 그리스도로 말미암아 구원된 ____________________ 살아갈 수 있는 생활 여건을 조성하도록 노력해야 한다.
제________조
선의의 모든 사람과 함께 _______________를 실현하기 위해 세상을 더욱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것으로 건설하도록 불리운 회원은 "완전한 인간이신 그리스도를 따르는 사람은 스스로 더 완전한 인간이 되리라"는 사실을 깨달아, 그리스도교의 _____________으로 자신의 책임을 힘껏 완수해야 한다.
제________조
회원은 ________________ 자신의 개인 생활로써 증거하고, 개인적으로나 집단적으로 활기에 찬 창의력을 드러내 보일 것이다. 특히 사회 생활의 각 분야에서 구체적이고 자신의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을 해야 한다.
제_________조
회원은 ________을 하느님의 _______로 알고, _________________ 및 인류 공동체에 대한 봉사에 참여하는 것으로 여겨야 한다.
제__________조
회원은 ______ 안에서 평화와 성실, __________의 프란치스코 정신을 살아, 그리스도 안에서 쇄신된 세상의 표지가 되도록 노력해야 한다.
무엇보다도 부부들은 혼인의 은혜를 살아 교회에 대한 ____________을 세상에서 증거해야 한다. 또한 그들은 순수하고 개방적인 그리스도교적 교육으로 각 자녀의 성소에 유의하면서, 자기 자녀와 함께 인간적이고 ______________을 기쁘게 걸어 가야 한다.
제__________조
회원은 "지극히 높으신 분의 표지를 지닌" ___________, 곧 생물과 무생물에게까지 존경심을 표현하고 남용하려는 유혹을 극복하며, 프란치스코께서 지녔던 __________________을 지니도록 힘써야 한다.
제___________조
회원은 _________________로서 평화를 끊임없이 건설해야 함을 기억하여, 누구에게도 신적 요소가 있으며 사랑과 용서로 사람을 변화시킬 힘이 있음을 신뢰하고, 대화를 통해서 ______________________방법을 모색해야 한다.
회원은 _______________의 선포자이므로 어떤 처지에서든지 다른 이들에게 기쁨과 희망을 가져다 주도록 노력해야 한다.
_____________의 참 뜻을 알게 해주는 그리스도의 부활에 동참하게 된 회원은 성부와의 결정적 만남을 평온한 마음으로 준비해야 한다.
제________조
재속 프란치스코회는 _________________등 여러 등급의 형제회로 분류되며, 각각의 형제회는 교회 안에서 법인으로 인정받는다. 각 등급의 형제회들은 이 ________________에 따라 서로 영향을 주며 결속되어 있다.
제________조
각 등급의 모든 형제회는 ______에 따라, 서약한 회원이 선출한 평의회와 회장(또는 의장)에 의해 촉진되고 이끌어진다.
이들의 봉사는 기한부이며, 모든 회원과 공동체에 대하여 준비되어 있고 책임이 따르는 직무이다.
각 형제회의 내부 조직은 _________에 따라, 그 회원들과 그 지역의 필요에 따라, 또 각 평의회의 조정 아래 다양하게 구성된다.
제________조
단위 형제회는 교회법적으로 설립해야 하며, 이로써 전체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첫 번째 ______가 되고, 사랑의 공동체인 교회의 볼 수 있는 표지가 된다. 그래서 각 단위 형제회는 _________과 ____________를 진작시키고 회원의 사도적 생활에 활기를 주기 위한 특전적인 모임이 되어야 한다.
제________조
재속 프란치스코회 입회 신청서는 각 단위 형제회에 제출하며, 평의회가 새 형제들의 입회를 결정한다.
정회원 입적은 일정한 지원기와 적어도 1년간의 양성기를 거쳐 회칙에 대한 서약으로 이루어진다. 이 점진적인 과정에서 전체 형제회도 ________________를 통해 책임져야 한다. 서약을 하는 연령과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독자적 표지는 규정으로 정한다. 서약은 그 성질상 영구적인 의무이다.
특별한 어려움을 겪고 있는 회원은 평의회에서 형제적인 대화로 자신의 문제를 토의할 수 있다. 각 형제회의 평의회는 잠정적 퇴회 또는 필요하다면 결정적인 제명을 ____________ 따라 결정한다.
제_________조
평의회는 회원 상호간의 친교를 촉진하기 위해 형제회의 ______________________을 가지며, 다른 프란치스칸 그룹, 특히 청년 그룹과의 만남도 마련해야 한다. 또한 모든 이가 형제회 생활에 열심하도록 격려하며 ________________________이 향상되도록 더욱 적절한 수단을 사용해야 한다.
이 친교는 사망한 형제들의 ______________________를 바쳐 줌으로써 그들과도 지속된다.
제_______조
모든 회원은 형제회의 생활과 전례, 사도직, 자선활동 등에 필요한 지출을 충당하기 위하여 자기 능력에 따라 ______를 내야 한다. 그리고 각 단위 형제회는 상급 형제회 평의회의 모든 경비를 ________하도록 배려해야 한다.
제______조
각급 평의회는 친교와 공동책임의 구체적 표시로써, ________ 따라 영적 보조를 위한 적합하고 준비되어 있는 수도자들을, 재속 프란치스코회가 수세기에 걸쳐 유대를 맺어온 프란치스칸 네 가족 _______________에게 청해야 한다.
회장(또는 의장)은 평의회의 동의를 얻어, 은사(Charisma)와 회칙의 준수에 대한 충실성을 강화하고 형제회의 생활에 더 큰 도움을 받기 위해, ________규정에 따라 해당 수도 장상들에게는 정기적인 ____________을, 상급 형제회에는 ____________을 요청해야 한다.
성 프란치스코의 약전
________년혹은 1182년 출생
________년 페루지아와 아시시의 전쟁
________년 아시시로 돌아옴
________년 아뽈리아 출전, 스폴레토 체험
________년 봄 귀도 주교 앞에서 부친과 결별
________년 2월 24일 복음 말씀을 듣고 생활양식으로 삼음
________년 4월 첫 동료들이 모임
__________________년 첫 동료들과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구두로 회칙을 인준
________ 년 로마에서 돌아와 리보 또르또에서 얼마간 살다가 포르치운쿨라로 옮김
________년 선교 목적으로 동료와 시리아를 출발 폭풍을 만나 돌아옴
________년 3월 18일 밤 클라라를 포르치운쿨라에서 복음적 생활로 받아들임
________년 올란도 경의 라베르나 산을 희사받음
________년 로마에서 열린 제 4차 라테라노 공의회에 참석,
________년 인노첸시오 3세 교황 서거, 호노리오 3세 선출, 포르치운쿨라 전대사를 받음
________년 포르치운쿨라에서 성령강림 축일에 총회, 해외선교를 결정, 피렌체에서 우골리노 추기경을 만남
________년 5월 6일 성령강림 축일에 포르치운쿨라 총회가 개최됨
________년 9월, 회교도의 술탄이었던 멜렉-엘-까멜을 만남
________년 연초에 술탄의 허락을 받아 성지를 순례하고 시리아까지 선교여행을 함,
형제회가 성지에서도 처음으로 조직됨
________년 1월 모로코에서 5명의 형제가 순교함
봄에 프란치스코는 형제회에 대한 걱정스러운 소식을 듣고 이탈리아로 급히 돌아옴
우골리노 추기경이 형제회의 첫 "보호자 추기경"으로 임명됨,
프란치스코가 형제회의 총봉사직을 사임하였고 까따니의 베드로가 총대리로 선출됨
________년 최초의 3회 회칙이우골리노 추기경의 도움으로 작성하여 호노리오 3세가 인준함
작은 형제회의 첫 회칙이 분실되여 개정하여(인준 받지 않은 회칙) 두번째 회칙을 호노리오 3세가 인준함
________년까지 프란치스코가 이탈리아를 두루 다니면서 설교함
________년 연초에 프란치스코는 퐅떼 콜롬보에서 회칙을 재 작성,
6월 11일 총회에서 이 회칙을 검토한 후 교황께 인준을 청함
11월 29일, 교항 호노리오 3세가 Solet Annuere, .대 칙서로 작은 형제회의 회칙을 인준함(인준 받은 회칙 혹은 제2회칙).
________년 9월 17일 프란치스코는 라베르나 산에서 오상을 받음, 10-11월에프란치스코는 포르치운쿨라로 돌아옴
________년 봄에 성 다미아노 수녀원에 머무르며, 위장병과 눈병 등의 고통 중에 태양의 노래를 씀
________년 봄에 눈병 치료를 받게 하기 위하여 형제들이 그를 시에나로 모셔 감
7-8월 죽음이 다가올 줄 알고 아시시로 돌아감, 이때에 유언을 씀.
10월 3일 토요일 해질녘 포르치운쿨라에서 죽음을 맞이함
그는 운명할 때 시편 141편을 읽도록 했다. 회개한지 스무 해 째 되는 해였다.
10월 4일 장엄한 장례식이 거행됨, 그의 유해는 성 제오르지오 성당에 안치됨,
________년 3월 19일 우골리노 추기경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로 선출됨
________년 7월 16일, 아시시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 의해 시성식이 거행됨
1229년까지 토마스 첼라노가 프란치스코의 전기를 저술함, 이것이 첼라노의 제1 생활기임
________년 5월 25일 프란치스코의 유해는 성인을 위하여 새로 건축된 아시시 대 성당으로 옮겨 안치됨
________연 교황 베네딕토 15세에 의해 가톨릭 액션의 주보성인으로 선포됨
________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와 함께 이탈리아의 주보 성인으로 선포됨
________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환경론자의 주보성인으로 선포됨
서약 총정리 성녀 클라라의 약전
________ 년 아시시의 귀족 가문에서 탄생함
________ 년 ~ 1211까지 프란치스코의 회개 과정으로 목격
________ 년 프란치스코의 사순절 설교에 감동되어 몇 차례 그를 만나 자기 뜻을 밝힘
________년 3월 18일 밤, 클라라는 자기 집을 몰래 떠나 포르치운쿨라에서
프란치스코 앞에서 그의 동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착복식을 하고 순종을 서약함
임시로 바스띠아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녀원에서 머물다가
얼마 후 수바시오 산 밑에 있는 성 안젤로의 베네딕토회 수녀원으로 자리를 옮김,
클라라의 친동생 안녜스가 여기서 입회하여 언니와 같은 생활을 시작함
1213년까지 클라라는 아녜스와 동료 몇 명과 함께
자기들을 위하여 프란치스카 마련한 성 다미아노로 이주하여
이곳을 '가난한 자매들의 회' 모원으로 삼음,
프란치스코는 자매들을 위하여 '생활 양식'을 써줌
________년 성 다미아노 공동체는 제4차 라따라노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베네딕도회 회칙을 따르게 됨,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의 명으로 '원장직'을 맡게 됨
________년 클라라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가난의 특전"을 얻음
________년 1219년까지 프란치스코의 작은 형제들의 정신에 따라 성 다미아노 공동체와 같은 공동체들이
여러 곳에서 발생함, 이 자매들을 처음에 '다미아니떼'라고 부름
________년 우골리노 추기경이 성 다미아노 수녀원이나
다른 '다미아니떼' 공동체들을 위하여 고유한 회칙을 씀,
이에 따라 자매들은 1219~ 1247년까지 우골리노 회칙을 따랐고, 법적으로 베내딕토회의 회칙을 서약했음.
________년 프란치스코가 성 다미아노 수녀원에서 클라라와 자매들로부터 눈병 치료를 받음
________년 10월 4일 성 다미아노 수녀원의 자매들이 세상을 떠난 사부의 유해를 눈물 가운데 공경하고 작별함
________년 우골리노 추기경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되어 2회를 돌볼 책임을 작은형제회에 맡김
________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클라라의 요청을 받고 9월 17일자로 "가난의 특전"을 재확인 함
________년 클라라는 친동생 아녜스를 피렌체에 있는 모티첼리 수녀원의 원장으로 파견함
________년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첫째 편지를 보냄
________년 1238년까지,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둘째와 셋째 편지를 보냄.
________년 클라라는 페레데릭 2세와 동맹하여 아시시를 습격한 사라센인들을 성체의 기적으로 좇아냄
________년 인노첸시오 4세 교황이 우골리노 회칙을 재확인함
________년 교항 인노첸시오 4세가 2회 자매들을 위하여 새 회칙을 작성하여 인준함.
교회법상 2회 자매들이 처음으로 프란치스칸 되었음, 또한 교황은 자매들을 작은형제회에 직속시켰음.
________년 6월 17일에 라이날도 추기경이 클라라회의 "보호자 추기경"으로 임명됨.
________년 클라라가 인준받은 프란치스코회의 회칙을 관상생활에 적용하여 자매들을 위하여 직접 고유한 회칙을 씀.
9월 16일 라이날도 추기경이 교황의 이름으로 이 회칙을 인준함
________년 클라라는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넷째 편지를 보냄.
클라라가 유언을 씀.
8월 9일 인노첸시오 4세가 클라라가 쓴 회칙을 인준함,
8월 11일에 클라라가 회칙을 가슴에 안고 세상을 하직함.
그의 유해는 성 제오르지오 성당에 안치됨.
________년 교황 알렉산드로 4세가 아낙니 대성당에서 클라라를 성녀품에 올림.
________년까지 토마스 첼라노가 클라라의 전기를 저술함.
________년 10월 3일에 클라라의 유해는 성녀를 위하여 새로 건축된 클라라 성당에 안치됨
________년 클라라의 시신이 상하지 않은 채로 발견됨
________년 클라라 회칙의 원본이 성녀의 수도복 속에서 우연히 발견됨.
재속 프란치스코회 약사
____________________년까지 프란치스코가 로마에서 돌아온 후 (1209년) 프란치스코의 설교와 모범에 매력을 느껴
세속에 머물면서 그의 복음적 이상을 따르려는 사람들이 많아지자 이들을 위해 생활 양식이라 할 수 있는 '산자들에게 보내 첫찌 편지'를 써줌.
(1221년 형제회 회칙(첫째회칙)이 분실됨)
_________1년 3회의 첫 회원인 루케치오와 보나돈나 부부 입회, 이들에게 회개의 색깔 없는 모직으로 된 수도복을 줌.
성 프란치스코와 우골리노 추기경이 준비한 '생활 지침'(Memoriale Propositi)을 교황 호노리오 3세께서 인준, 프란치스코 3회의 번적인 첫 회칙으로 무기 소지와 장엄 맹세를 금지
_________년3월 9일 루케치오 부부 사망
_________년 8월 18일 교황 니콜라오 4세 회칙이 공포됨, 지역적 법령 인 우골리노 회칙에 비해 일치되고 보편적인 특성을 지닌
공식적으로 인준된 첫 회칙, 3회의 기원이 프란치스코에게 있음을 밝혀 3회의 정체성을 확립했다. 이 회칙을 그 뒤 600년간 효력을 유지함.
_________년 마르시아노의 안젤리나가 3회 회칙을 따르며 엄격한 은둔 생활을 하는 여성들만을 위한 공동체 설립
_________년 엄격한 은둔 생활을 하는 남성들만을 위한 공동체 설립
_________년 니콜라오 5세에 의해 3회의 작은 은둔 공동체를 단일 수도회로 합병, 수도 공동체인 '율수3회'와
재속 생활인 '프란치스코 재속 3회'의 완전 분리가 이루어짐
_________년 재속 3회원의 의복이 긴 스카풀라와 띠로 대체
_________년 레오 10세에 의해 3회원이 교회 법원소속이 아니라 다른 평신도들처럼 세속 법원의 지배를 받게 된
_________년 클레멘스 7세 규정 사용, 단식 금육 완화
_________년 교황 인노첸시오 11세가 니콜라오 4세 회칙을 수정 보완하여 회헌을 제정.
_________년 교황 레오 13세는 니콜라오 4세 회칙을 단순화하여 보다 더 많은 사람들이 받아들일 수 있도록 개정하여
5월 25일 '하느님의 자비로우신 성자(Misericos Dei Filius)'칙서로 새 회칙 공포.
_________년 교황 비오 12세는 프란치스코 3회의 새 회헌 공포 레오 13세 회칙에서 부족한 복음적이고 사회적임 년을 보완
_________년 11월 제 2차 바티칸 공의회의 현대화 (Aggiornamento) 과정에서 회칙을 만들고자 총 영적보조자들이
세 가족 수도회의 총장들에게 레오 13세 회칙 개정 서한 보냄
_________년 3월 7일 수도자 성성에서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회칙 현대화 허가,
네 가족 총 영적 보조자들이 복음적이고 프란치스칸적이며 제2차 ㅏ티칸 공의회 정신에 부합하는 회칙 제정 의견 수렴
________________까지 아시시에서 내 가족 수도회 회의 개최, 회칙 개정에 재속 3회원의 참석 필요성 절감,
회원들에게 의견수렴, 초안 작성. 25과의 의안 작성.
_________년 1975년까지 기본 택스트 제안
_________년 1977년까지. '1977년 4월 개정판'이라는 일치된 택스트를 수도자 성성에 제출
_________년 6월 24일 영정 보조자와 총장, 수도자 성성에 의해 '1977년 4월 개정판'이 손질된 후
교황 바오로 6세로부터 공식적으로 인준, '신자들에게 보낸 첫째 편지'를 머릿말로 넣고 3장 26조의 현 회칙을 'Seraphi cus Patriarcha' 칙서로 공포.
이로써 재속 프란치스코회가 변화된 시대상황 안에서 성교회의 요청과 기대에 부응토록 하였다. 이 쇄신 작업은 제2차 바티칸 공의GHL의 권고와 지침에 따라 시작하여 12년이나 걸린 것이다.
_________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는 재속 프란치스코 국제 평의회에 베푸신 알현에서 "
이 회칙은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정신에 부합하며, 교회가 재속 프란치스칸들로부터 기대하는 바에 응답하는 참된 보화"라고 규정하시고 이를 연구하고 사랑하며 살아갈 것을 권고했다.
_________년 1978년 회칙을 구체적으로 적용시키기 위해 9월 8일자로 새 회헌이 축성 생활회 및 사도생활단 성의 교령으로
6년 시한부로 인가되었다
_________년 1990년 회헌이 3년 추가 연장되었다.
_________년 10월 마드리드 총회에서 새 회헌 내용을 토의, 검토.
_________년 12월 8일 1999년 마드리드 총회에서 마련한 새 회헌이 교황청 축성생활회 및 사도생활단 성의 교령으로 인준받았다.
_________년 2월 6일 3장 103조의 현 회헌 공포.
3월 6일부터 현 회헌은 법적으로 유효하게 발효
재속 프란치스코 회의 창설과 역사
프란치스코의 설교와 모범에 매력을 느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많은 사람들이 거룩한 영광에 힘입어 프란치스코의 가르침과 이끌음으로 영원한 영신 전쟁을 치르려고 그에게 오기 시작하였다.”(1첼라노 37)
프란치스코가 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는 3회원을 위해 쓴 것이며, 일반적으로 이 편지를 프란치스코 3회원들에게 준 첫 회칙으로 본다. 그러나 회칙이 정식으로 인준 받은 것은 1221년 교황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에 의해서였다. 그러므로 법적인 의미에서의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첫 회칙은 ‘생활지침’(Memoriale Propositi)이라 불리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회칙이다.
2. 명칭의 변화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명칭은 시대의 상황과 교회의 요구에 의해 몇 차례 바뀌었다. 초기에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로 불렸는데 1221년 첫 회칙에서도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이라 불렸다.
15세기에 이르러서는 ‘프란치스코 3회’안에서 수도 생활을 하는 공동체가 생기자 그런 율수 3회와 구별을 하고 재속성을 드러내기 위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라고 부르게 되었다.
이후 1957년 회헌에서 가족적인 정신을 기르고 각자가 참된 공동체를 이루고 있는 표지로 형제성을 강조하기 위하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라 불리게 되었다.
회(Ordo)는 성대서원을 하며 성좌의 주도 하에 인가된 프란치스코 수도회와 한 가족임을 드러내고 있으며, 프란치스코(Franciscanus)는 이 회의 창설자요 모범이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임을 밝혀 주면서, 프란치스칸 가족의 유대를 나타낸다. 재속(Saecularis)은 수도회인 1,2회와 구별시키며, 프란치스코의 가족 중에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를 나타내고, 재속 프란치스코회 회원의 영성의 특징이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에 있음을 나타낸다. 곧 삶의 터전이 세상임을 드러내 주고, 세상 안에서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을 성취하기로 서약하는 사람들이라는 뜻이다.
1. 회칙 기도
오 주님, 우리하느님, 저희는 갖가지 모습으로 온갖 일을 하면서 살지만, 서로에게 서로를 내놓아 하나를 이루는 가운데서 교회의 부르심과 생활 안에서 ________________________ 사부 프란치스코의 카리스마를 나타내고자 합니다. 저희는 ________________________ , 교회가 인준한 회칙의 가르침에 힘입어 성 프란치스코의 발자취를 따라 ________________________ 살기로 맹세합니다(제 1~3조)
○ 청하오니 이끌어 주시어 저희가 매일
○ 성 프란치스코의 발자취를 따라 우리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실행하면서, 복음에서 생활로, 생활에서 복음으로 나아가며(제1조).
○ 형제 안에서, 성서와 교회 안에서, 성체 안에서, 살아계시고 활동하시는 ________________________를 만나고자 하오며(제5조)
○ 생활과 말로 그리스도를 선포하고, 세상 안에서 교회가 지닌 선교 사명의 ________________________로서 나아가며(제6조),
○ 복음이 회개라고 한 그대로, 깊은 속마음을 바꾸어 생각과 행위를 ________________________와 하나되게 하고, 화해의 성사로 거듭 새로운 길로 나아가며(제7조),
○ ________________________이 저희의 전 존재와 활동력이 되고(제8조)
○ 자신을 온전히 내어놓고 당신의 말씀과 그 모든 부르심에 혼연히 응하신 ________________________를 본받으며(제9조),
○ 생활 안에서 부딧치는 ________________________속에서, 맡겨진 의무를 충실하게 완수하고(제10조),
○ 소유욕과 지배욕으로 기울어지려는 경향에서 벗어나 ________________________하고 이탈하게 할 올바른 정신을 찾으며(제11조)
○ 하느님과 이웃을 사랑할 수 있도록 저희를 자유롭게 하는 ________________________을 지니고(제 12조)
○ 모든 사람을 주님의 선물로, 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받아들이며(제13조),
○ 그리스도교 ________________________으로 우리의 책임을 온전히 수행하며(제14조),
○ 사람다운 삶의 증인이며 용기있는 길잡이로서 ________________________ 일에 압장 서게 하시고(제 15조),
○ ________________________을 하느님이 주신 선물로, 창조사업과 구원, 인간 공동체를 위한 봉사로 여기며(제 16조).
○ 평화와 충실함과 ________________________하는 프란치스칸 정신을 저희 가족 안에 북돋우어, 이를 그리스도 안에서 이미 새로워진 세상의 표지로 삼도록 애쓰고(제 17조).
○ ________________________, 생물과 무생물을 '지존하신 분의 모습을 지닌' 것으로 존중하며(제 18조)
○ 어떠한 처지에서도 완전한 기쁨을 나누고 ________________________ 되어, 그리스도의 부활에 동참하여, 우리 아버지 하느님을 영원히 만나기 위해 자매인 ________________________을 평온히 맞이하게 하소서(제 19조)
이 모든 것을 우리 주님이시며 형제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하여 비나이다. 아멘
1. 단위 형제회가 비치, 기록해야 할 서류(p709)
1)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3)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4)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5)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6)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7)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8)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9)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단위 형제회가 지구 형제회에 보고할 것(p710)
1) 정기적인 보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2) 사안 발생시의 보고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세겹의 군대인 프란치스칸들은 한 형제 자매로서 온 세상에서 주님의 교회를 재건하기 위해 불리움을 받은 사람들이다. (보내벤투라 대전기 2:8)
세겹의 군대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재속 프란치사칸은 무엇을 서약하는가?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현 회칙은 누가 인준했는가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현 회헌은 2000년 12월 8일에 성좌의 _________________________로부터 전달 받아 2001년 3월 6일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이 공표했습니다. (P5)
프란치스코 네 가족 수도회는 ?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_
'양성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찰 이전에 형제회 회장이 확인해야 할 항목(Checklist) (0) | 2019.06.10 |
---|---|
프란치스코 처럼 리뷰 (0) | 2019.03.31 |
재속 프란치스코 각급 형제회의 서류와 단위 형제회가 지구 형제회에 보고할 것 (0) | 2019.02.24 |
서약 총정리 재속 프란치스코회 약사 (0) | 2019.02.21 |
서약 총정리 성녀 클라라의 약전 (0) | 2019.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