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약 총정리 성녀 클라라의 약전
________ 년 아시시의 귀족 가문에서 탄생함
________ 년 ~ 1211까지 프란치스코의 회개 과정으로 목격
________ 년 프란치스코의 사순절 설교에 감동되어 몇 차례 그를 만나 자기 뜻을 밝힘
________년 3월 18일 밤, 클라라는 자기 집을 몰래 떠나 포르치운쿨라에서
프란치스코 앞에서 그의 동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착복식을 하고 순종을 서약함
임시로 바스띠아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녀원에서 머물다가
얼마 후 수바시오 산 밑에 있는 성 안젤로의 베네딕토회 수녀원으로 자리를 옮김,
클라라의 친동생 안녜스가 여기서 입회하여 언니와 같은 생활을 시작함
1213년까지 클라라는 아녜스와 동료 몇 명과 함께
자기들을 위하여 프란치스카 마련한 성 다미아노로 이주하여
이곳을 '가난한 자매들의 회' 모원으로 삼음,
프란치스코는 자매들을 위하여 '생활 양식'을 써줌
________년 성 다미아노 공동체는 제4차 라따라노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베네딕도회 회칙을 따르게 됨,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의 명으로 '원장직'을 맡게 됨
________년 클라라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가난의 특전"을 얻음
________년 1219년까지 프란치스코의 작은 형제들의 정신에 따라 성 다미아노 공동체와 같은 공동체들이
여러 곳에서 발생함, 이 자매들을 처음에 '다미아니떼'라고 부름
________년 우골리노 추기경이 성 다미아노 수녀원이나
다른 '다미아니떼' 공동체들을 위하여 고유한 회칙을 씀,
이에 따라 자매들은 1219~ 1247년까지 우골리노 회칙을 따랐고, 법적으로 베내딕토회의 회칙을 서약했음.
________년 프란치스코가 성 다미아노 수녀원에서 클라라와 자매들로부터 눈병 치료를 받음
________년 10월 4일 성 다미아노 수녀원의 자매들이 세상을 떠난 사부의 유해를 눈물 가운데 공경하고 작별함
________년 우골리노 추기경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되어 2회를 돌볼 책임을 작은형제회에 맡김
________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클라라의 요청을 받고 9월 17일자로 "가난의 특전"을 재확인 함
________년 클라라는 친동생 아녜스를 피렌체에 있는 모티첼리 수녀원의 원장으로 파견함
________년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첫째 편지를 보냄
________년 1238년까지,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둘째와 셋째 편지를 보냄.
________년 클라라는 페레데릭 2세와 동맹하여 아시시를 습격한 사라센인들을 성체의 기적으로 좇아냄
________년 인노첸시오 4세 교황이 우골리노 회칙을 재확인함
________년 교항 인노첸시오 4세가 2회 자매들을 위하여 새 회칙을 작성하여 인준함.
교회법상 2회 자매들이 처음으로 프란치스칸 되었음, 또한 교황은 자매들을 작은형제회에 직속시켰음.
________년 6월 17일에 라이날도 추기경이 클라라회의 "보호자 추기경"으로 임명됨.
________년 클라라가 인준받은 프란치스코회의 회칙을 관상생활에 적용하여 자매들을 위하여 직접 고유한 회칙을 씀.
9월 16일 라이날도 추기경이 교황의 이름으로 이 회칙을 인준함
________년 클라라는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넷째 편지를 보냄.
클라라가 유언을 씀.
8월 9일 인노첸시오 4세가 클라라가 쓴 회칙을 인준함,
8월 11일에 클라라가 회칙을 가슴에 안고 세상을 하직함.
그의 유해는 성 제오르지오 성당에 안치됨.
________년 교황 알렉산드로 4세가 아낙니 대성당에서 클라라를 성녀품에 올림.
________년까지 토마스 첼라노가 클라라의 전기를 저술함.
________년 10월 3일에 클라라의 유해는 성녀를 위하여 새로 건축된 클라라 성당에 안치됨
________년 클라라의 시신이 상하지 않은 채로 발견됨
________년 클라라 회칙의 원본이 성녀의 수도복 속에서 우연히 발견됨.
성녀 클라라의 약전
1194년 아시시의 귀족 가문에서 탄생함
1206년 ~ 1211까지 프란치스코의 회개 과정으로 목격
1210년 프란치스코의 사순절 설교에 감동되어 몇 차례 그를 만나 자기 뜻을 밝힘
1212년 3월 18일 밤, 클라라는 자기 집을 몰래 떠나 포르치운쿨라에서
프란치스코 앞에서 그의 동료들이 지켜보는 가운데 착복식을 하고 순종을 서약함
임시로 바스띠아에 있는 베네딕토회 수녀원에서 머물다가
얼마 후 수바시오 산 밑에 있는 성 안젤로의 베네딕토회 수녀원으로 자리를 옮김,
클라라의 친동생 안녜스가 여기서 입회하여 언니와 같은 생활을 시작함
1213년까지 클라라는 아녜스와 동료 몇 명과 함께
자기들을 위하여 프란치스카 마련한 성 다미아노로 이주하여
이곳을 '가난한 자매들의 회' 모원으로 삼음,
프란치스코는 자매들을 위하여 '생활 양식'을 써줌
1215년 성 다미아노 공동체는 제4차 라따라노 공의회의 결정에 따라 베네딕도회 회칙을 따르게 됨,
클라라는 프란치스코의 명으로 '원장직'을 맡게 됨
1216년 클라라는 교황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가난의 특전"을 얻음
1218년 1219년까지 프란치스코의 작은 형제들의 정신에 따라 성 다미아노 공동체와 같은 공동체들이
여러 곳에서 발생함, 이 자매들을 처음에 '다미아니떼'라고 부름
1219년 우골리노 추기경이 성 다미아노 수녀원이나
다른 '다미아니떼' 공동체들을 위하여 고유한 회칙을 씀,
이에 따라 자매들은 1219~ 1247년까지 우골리노 회칙을 따랐고, 법적으로 베내딕토회의 회칙을 서약했음.
1225년 프란치스코가 성 다미아노 수녀원에서 클라라와 자매들로부터 눈병 치료를 받음
1226년 10월 4일 성 다미아노 수녀원의 자매들이 세상을 떠난 사부의 유해를 눈물 가운데 공경하고 작별함
1227년 우골리노 추기경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되어 2회를 돌볼 책임을 작은형제회에 맡김
1228년 교황 그레고리오 9세가 클라라의 요청을 받고 9월 17일자로 "가난의 특전"을 재확인 함
1230년 클라라는 친동생 아녜스를 피렌체에 있는 모티첼리 수녀원의 원장으로 파견함
1234년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첫째 편지를 보냄
1235년 1238년까지,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둘째와 셋째 편지를 보냄.
1240년 클라라는 페레데릭 2세와 동맹하여 아시시를 습격한 사라센인들을 성체의 기적으로 좇아냄
1245년 인노첸시오 4세 교황이 우골리노 회칙을 재확인함
1247년 교항 인노첸시오 4세가 2회 자매들을 위하여 새 회칙을 작성하여 인준함.
교회법상 2회 자매들이 처음으로 프란치스칸 되었음, 또한 교황은 자매들을 작은형제회에 직속시켰음.
1248년 6월 17일에 라이날도 추기경이 클라라회의 "보호자 추기경"으로 임명됨.
1252년 클라라가 인준받은 프란치스코회의 회칙을 관상생활에 적용하여 자매들을 위하여 직접 고유한 회칙을 씀.
9월 16일 라이날도 추기경이 교황의 이름으로 이 회칙을 인준함
1253년 클라라는 프라하의 아녜스에게 넷째 편지를 보냄.
클라라가 유언을 씀.
8월 9일 인노첸시오 4세가 클라라가 쓴 회칙을 인준함,
8월 11일에 클라라가 회칙을 가슴에 안고 세상을 하직함.
그의 유해는 성 제오르지오 성당에 안치됨.
1255년 교황 알렉산드로 4세가 아낙니 대성당에서 클라라를 성녀품에 올림.
1256년까지 토마스 첼라노가 클라라의 전기를 저술함.
1260년 10월 3일에 클라라의 유해는 성녀를 위하여 새로 건축된 클라라 성당에 안치됨
1850년 클라라의 시신이 상하지 않은 채로 발견됨
1893년 클라라 회칙의 원본이 성녀의 수도복 속에서 우연히 발견됨.
'양성자료'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재속 프란치스코 각급 형제회의 서류와 단위 형제회가 지구 형제회에 보고할 것 (0) | 2019.02.24 |
---|---|
서약 총정리 재속 프란치스코회 약사 (0) | 2019.02.21 |
서약 총정리 - 성 프란치스코의 약전 (0) | 2019.02.21 |
서약 총정리 재속프란치스코회 회헌 (0) | 2019.02.21 |
서약 총정리 재속 프란치스코회의 창설과 역사 (0) | 2019.02.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