양성자료

서약 총정리 - 성 프란치스코의 약전

Margaret K 2019. 2. 21. 07:14

성 프란치스코의 약전

________년혹은 1182년  출생

________년 페루지아와 아시시의 전쟁

________년  아시시로 돌아옴

________년 아뽈리아 출전, 스폴레토 체험

________년 봄 귀도 주교 앞에서 부친과 결별

________224일 복음 말씀을 듣고 생활양식으로 삼음

________4월 첫 동료들이 모임

________-1210년 첫 동료들과 인노첸시오 3세로부터 구두로 회칙을 인준

________ 년 로마에서 돌아와 리보 또르또에서 얼마간 살다가 포르치운쿨라로 옮김

________년 선교 목적으로 동료와 시리아를 출발 폭풍을 만나 돌아옴

________318일 밤 클라라를 포르치운쿨라에서 복음적 생활로 받아들임

________년 올란도 경의 라베르나 산을 희사받음

________년 로마에서 열린 제 4차 라테라노 공의회에 참석,

________년 인노첸시오 3세 교황 서거, 호노리오 3세 선출, 포르치운쿨라 전대사를 받음

________년 포르치운쿨라에서 성령강림 축일에 총회, 해외선교를 결정, 피렌체에서 우골리노 추기경을 만남

________ 5 6일 성령강림 축일에 포르치운쿨라 총회가 개최됨

________ 9, 회교도의 술탄이었던 멜렉--까멜을 만남

________년 연초에 술탄의 허락을 받아 성지를 순례하고 시리아까지 선교여행을 함,

 형제회가 성지에서도 처음으로 조직됨

________ 1월 모로코에서 5명의 형제가 순교함

봄에 프란치스코는 형제회에 대한 걱정스러운 소식을 듣고 이탈리아로 급히 돌아옴

우골리노 추기경이 형제회의 첫 "보호자 추기경"으로 임명됨

프란치스코가 형제회의 총봉사직을 사임하였고 까따니의 베드로가 총대리로 선출됨

________년 최초의 3회 회칙이우골리노 추기경의 도움으로 작성하여 호노리오 3세가 인준함

 작은 형제회의 첫 회칙이 분실되여 개정하여(인준 받지 않은 회칙) 두번째 회칙을  호노리오 3세가 인준함

________년까지 프란치스코가 이탈리아를 두루 다니면서 설교함

________년 연초에 프란치스코는 퐅떼 콜롬보에서 회칙을 재 작성

6 11일 총회에서 이 회칙을 검토한 후 교황께 인준을 청함

11 29, 교항 호노리오 3세가 Solet Annuere, .대 칙서로 작은 형제회의 회칙을 인준함(인준 받은 회칙 혹은 제2회칙).

________ 9 17일 프란치스코는 라베르나 산에서 오상을 받음, 10-11월에프란치스코는 포르치운쿨라로 돌아옴  

________년 봄에 성 다미아노 수녀원에 머무르며, 위장병과 눈병 등의 고통 중에 태양의 노래를 씀

________년 봄에 눈병 치료를 받게 하기 위하여 형제들이 그를 시에나로 모셔 감

7-8월 죽음이 다가올 줄 알고 아시시로 돌아감, 이때에 유언을 씀.

10 3일 토요일 해질녘 포르치운쿨라에서 죽음을 맞이함

그는 운명할 때 시편 141편을 읽도록 했다. 회개한지 스무 해 째 되는 해였다.

10 4일 장엄한 장례식이 거행됨, 그의 유해는 성 제오르지오 성당에 안치됨,

________ 3 19일 우골리노 추기경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로 선출됨

________ 7 16, 아시시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 의해 시성식이 거행됨

1229년까지 토마스 첼라노가 프란치스코의 전기를 저술함, 이것이 첼라노의 제1 생활기임

________ 5 25일 프란치스코의 유해는 성인을 위하여 새로 건축된 아시시 대 성당으로 옮겨 안치됨

________연 교황 베네딕토 15세에 의해 가톨릭 액션의 주보성인으로 선포됨

________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와 함께 이탈리아의 주보 성인으로 선포됨

________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환경론자의 주보성인으로 선포됨



성 프란치스코의 약전


1181 또는 1182년 프란치스코가 아시시에서 탄생

199년 1200년까지 아시시의 중산계급과 농민이 귀족에게 봉기

1202년 페루지아와 아시시 사이에 전쟁이 발발, 아시시가 패전함, 

프란치스코는 포로가 되어 페루지아에서 감옥 생활을 함

1204년 프란치스코가 아시시로 돌아온 후 포로생활의 영향으로 병석에 눞게 됨

1205년 기사가 될 마음으로 아풀리아로 가서 브리엔의 월타군에 입대하려고 떠남

(봄) 스폴레토에서 신비체험을 하고 아시시로 돌아옴,

(여름) 회개생활 시작

(말기) 나병환자를 만남

성 다미아노 성당 십자가에서 '프란치스코, 가서 무너져가는 나의 집을 고쳐라." 하는 주님의 말씀을 들음

1206년 (봄)아시시의 귀도 주교 앞에서 부친과 결별

은둔자의 옷을 입음

1208년까지 나병환자들을 돌보는 일에 열중

성 다미아노, 성 베드로, 포르치운쿨라 성당을 수리

1208년 2월 24일 프란치스코는 복음말씀을 듣고 이것을 그의 생활양식으로 삼음

4월에 첫 동료들이 모이기 시작

1209 또늩 1210년, 프란치스코는 첫 동료들과 함께 로마로 가서 

인노첸시오 3세 교황으로부터 회칙을 구두로 인준 받음.

1209년 로마에서 돌아와 리보또르또에서 얼마간 살다가 포르치운쿨라로 옮김

1211년 선교 목적으로 동료와 함께 시리아를 향해 출발했으나 폭풍을 만나 돌아옴

1212년 3월 18일 밤 클라라를 포르치운쿨라아에서 복음적 생활로 받아들임

1213년 5월 8일 키우시의 백작 올란도경이 라베르나 산을 프란치스코에게 희사함

1214년까지 베르나르도 형제와 함게 모로코로 가려고 스페인까지 갔으나, 병으로 인하여 뜻을 이루지 못하고 콤포스텔라의 성 아고보 성지를 방문한 다음 포르치운쿨라로 돌아옴

1215년 로마에서 열린 제 4차 라떼라노 공의회에 참석함, 

이때에 성 도미니코를 만났을 것으로 추측, 후에 성인의 전기작가가 된 토마스 첼라노가 형제회에 입회함.

1216년 인노첸시오 3세 교황 서거, 호노리오 3세께서 페루지아에서 교황으로 선출됨, 

프란치스코는 호노리오 3세로부터 포르치운쿨라 전대사를 받음,

1217년 포르치운쿨라에서 성령강림 축일에 총회가 열림, 

여기에서 이탈리아를 벗어나 유럽 지역과 해외 선교를 결정함, 선교를 목적으로 불란서로 길을 떠난 프란치스코는 피렌체에서 우골리노 추기경을 만났고, 그의 설득으로 여행을 포기하고 이탈리아에 남게 됨

1219년 5월 6일 성령강림 축일에 포르치운쿨라 총회가 개최 됨

우골리노 추기경이 주관한 이 총회에서 새로운 선교를 결정함,

6월 24일 프란치스코는 형제들과 함께 이집트로 출발하여 다미에따에서 십자군 패배를 목격함

1219년 9월, 회교도의 술탄이었던 멜렉-엘-까멜을 만남

1220년 연초에 술탄의 허락을 받아 성지를 순례하고 시리아까지 선교여행을 함,

 형제회가 성지에서도 처음으로 조직됨

1220년 1월 모로코에서 5명의 형제가 순교함

봄에 프란치스코는 형제회에 대한 걱정스러운 소식을 듣고 이탈리아로 급히 돌아옴

우골리노 추기경이 형제회의 첫 "보호자 추기경"으로 임명됨, 

프란치스코가 형제회의 총봉사직을 사임하였고 까따니의 베드로가 총대리로 선출됨

1221년 최초의 3회 회칙이 우골리노 추기경의 도움으로 작성하여 호노리오 3세가 인준함

작은 형제회의 첫 회칙을 개정하여 24장으로 증보함(인준 받지 않은 회칙)

1222년까지 프란치스코가 이탈리아를 두루 다니면서 설교함

1223년 연초에 프란치스코는 퐅떼 콜롬보에서 회칙을 재 작성, 

6월 11일 총회에서 이 회칙을 검토한 후 교황께 인준을 청함

11월 29일, 교항 호노리오 3세가 Solet Annuere, .대 칙서로 작은 형제회의 회칙을 인준함(인준 받은 회칙 혹은 제2회칙).

1224년 9월 17일 프란치스코는 라베르나 산에서 오상을 받음, 10-11월에프란치스코는 포르치운쿨라로 돌아옴

1225년 봄에 성 다미아노 수녀원에 머무르며, 위장병과 눈병 등의 고통 중에 태양의 노래를 씀

1226년 봄에 눈병 치료를 받게 하기 위하여 형제들이 그를 시에나로 모셔 감

7-8월 죽음이 다가올 줄 알고 아시시로 돌아감, 이때에 유언을 씀.

10월 3일 해질녘 포르치운쿨라에서 죽음을 맞이함

10월 4일 장엄한 장례식이 거행됨, 그의 유해는 성 제오르지오 성당에 안치됨,

1227년 3월 19일 우골리노 추기경이 교황 그레고리오 9세로 선출됨

1228년 7월 16일, 아시시에서 교황 그레고리오 9세에 의해 시성식이 거행됨

1229년까지 토마스 첼라노가 프란치스코의 전기를 저술함, 이것이 첼라노의 제1 생활기임

1230년 5월 25일 프란치스코의 유해는 성인을 위하여 새로 건축된 아시시 대 성당으로 옮겨 안치됨

1916연 교황 베네딕토 15세에 의해 가톨릭 액션의 주보성인으로 선포됨

1939년 교황 비오 12세에 의해 시에나의 성녀 가타리나와 함께 이탈리아의 주보 성인으로 선포됨

1979년 교황 요한 바오로 2세에 의해 환경론자의 주보성인으로 선포됨



세겹의 군대인 프란치스칸들은 한 형제 자매로서 온 세상에서 주님의 교회를 재건하기 위해 불리움을 받은 사람들이다. (보내벤투라 대전기 2:8)

재속 프란치사칸은 무엇을 서약하는가?

성 프란치스코의 생활양식인 회칙을 살겠다고 서약한다. 

교황 바오로 6세의 사도적 서한, 프란치스코 네 가족 수도회 총봉사자들의 서한, 재속 프란치스코 국제 평의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