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실과 낭만 드라마 보는 아내를 탓 한지가 엊그제 같은데 이제는 상황이 역전되어 내가 드라마를 보고 있으면 아내가 ‘아줌마!’하고 놀린다. 요즘 가장 핫한 드라마는 역시나 <낭만닥터 김사부>다. 괴짜의사로 나오는 김사부는 97% 수술성공률을 만든 신의 손으로 불러졌지만, 한 생명의 죽음으로 수술대 앞에 설 수 없다가 다시 지방의 초라한 ‘돌담병원’에 정착하여 나름대로 행복하게 지내는 중 두 젊은 의사가 오면서 좌충우돌 무모한 도전이 시작되면서 재미를 더해주고 있다. 의사의 흰 가운은 누가 봐도 멋지다. 지성적이고 생명을 살리는 직업이기에 그들은 보통사람들의 로망이다. 그럼에도 그들 역시 인간이다. 보통사람들처럼 욕먹고 원망 듣고 끊임없이 신념과 목표 앞에 고뇌하는 한계적 존재라는 것이다. 멋져 보인만큼 사회에 대한 책임감 또한 크기에 그들이 선택하는 선과 악이 사회를 향한 일침과 방종이 되기에 시청자들은 함성과 야유를 동시에 보낸다. <낭만닥터..>에서 악의 대표적 인물은 무엇보다도 ‘거대병원’ 도원장이다. 그는 평생 김사부로 불려지는 부용주에게 열등의식을 못 벗어나 온갖 꾀를 다 내어 그를 무너뜨리려 혈안이 되어있는 반면에 김사부는 온갖 불의 앞에서도 타협하지 않고 끝까지 의사의 본분을 지키는 모습에 진한 인간미를 느끼며 박수를 보낸다. <낭만닥터 김사부> OST 'The Stranger'에 이런 가사가 나온다. ‘... Some are satin some are steel Some are silk and some are leather...’ 이게 세상이다. 선과 악은 어디서나 존재하기에 도무지 속을 알 수 없는 시시각각 다른 낯선 얼굴들을 우리는 주변에 쉽게 만날 수가 있다. 그런 세상일 찌라도 사부로 여기고 가까이 하고 싶은 이 역시 존재한다. 나는 ‘김사부’를 보면서 내가 평소 좋아하는 사람과 오버랩 되는 몇 가지 부분들이 있었다. 먼저 그들은 이제 보니 상처(傷處)가 많은 사람들이었다. 사람은 자신이 추구했던 것이 무산되고 또 자신의 요구가 거절되거나 무시당할 때 상처를 받게 된다. 열등감이 클수록 상처는 더 오래 지속되지만, 우월감과 자만심이 강한 사람에게 상처란 인생에 엄청난 데미지를 주게 된다. 하지만 생각해보면 외로우니까 사람이라고 하듯, 누군가가 내게 상처를 준다는 것은 그만큼 고독하다는 것이요 상처를 받는 나는 아직도 무언가를 기대할만한 희망이 있다는 증거이기에 나쁜 것만은 아니다. 상처는 청춘이 누릴 수 있는 행복한 비명이라고는 말 못하겠지만, 적어도 더 아픔만큼 더 슬픔만큼 그만큼 단단해지고 최소한 자아를 바로 직시할 수 있는 기회를 갖게 된다. 상처 앞에 평소 자신이 생각했던 권위나 특권의식 그리고 자만심 등이 얼마나 부질없는 짓이었는가를 깨닫게 되며 자신의 상처에서 비로써 이웃의 상처를 바라볼 여유를 갖게 된다. 상처받을 땐 자신만이 가장 억울하고 자신만이 가장 절망적으로 여겼는데 상처가 아물어지면서 자신과 비할 수 없는 상처로 고통당하는 이웃을 보게 된 것이다. 혼자인 밤이면 상처 입은 짐승들이 주위를 가득 모인다는 진리를 이제야 알게 되면서 남의 아픔을 품고 헤아릴 줄 알기에 사람들이 좋아하며 아플수록 더 가까이 하려고 애를 쓴다. 내가 누군가를 좋아한다는 것은 유아적 여러 이유를 넘어서 때론 산 같이 때론 어머니 같은 넉넉함과 평온함 그리고 ‘낭만’이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낭만’이란 물결 낭(浪) 흩어질 만(漫) 곧 물결이 흩어질 때의 평온함인데 이런 낭만을 갖기까지 나름대로 아픔들을 잘 승화시켜야만 누릴 수 있는 특권이다. 사람에게 낭만이 있다는 것은 단순히 분위기와 센스가 있다는 뜻을 넘어서 눈에 보이지 않는 확고한 용기와 진심이 있음을 의미한다. 인질극 때 무모한 행동을 탓하는 젊은 닥터에게 김사부는 이렇게 말한다. “일하는 방법만 알고 일하는 의미를 모른다면 의사로써 무슨 가치가 있겠는가?...” 나는 이 말을 ‘너는 일하는 의미도 모르는데 낭만을 알겠어?’로 들렸다. ‘먹고살기도 바쁜데 낭만이라니...’ 라고 말하고 일하는 의미도 모른 채 낭만을 사치로만 여기며 살아간다면 돈은 많이 벌지 몰라도 그에게 사람은 가까이 하지 않을 것이다. 물론 낭만과 현실은 달콤함과 씁쓸함 사이처럼 멀리 느껴질 수 있다. 이 둘 사이를 오가기가 쉽지 않기에 자신도 모르게 낭만 없는 삶이되기 쉽다. 이때 그 사람의 평소 세계관이 어떤 현실 앞에서도 두려워하지 않는 용기가 되어 낭만과 현실 사이에서도 낭만적인 삶으로 잘 이끌어 가게 한다. "행복해지려면 미움 받을 용기도 있어야 하네. 그런 용기가 생겼을 때 자네의 인관관계는 한순간에 달라질 걸세..." <미움 받을 용기>책에 나온 내용처럼 낭만은 허세가 아니라 인생관에 바탕을 둔 철학이기에 때론 두려워도 멈추지 않고 계속 하기에 그 어떤 카리스마보다 사람을 끈다. 어느 땐 조금 느린 것 같았지만 알면 알수록 더 큰 사랑이 마음을 나누는 친구들을 만들었던 것이다. 가까이 하고픈 사람은 결정적으로 여러 면에서 내게 필요한 사람이었다. 김사부에 대해 아무리 갑론을박해도 그를 내칠 수 없었던 것은 병원에서 꼭 필요한 사람이었기 때문이다. 강동주가 김사부에게, “당신은 좋은 의사냐 최고의 의사냐” 물을 때, “저기 환자에게 물어봐 어느 쪽 의사를 원한다고 할까? 필요한 의사야 그래서...” “남 탓해봤자 세상 달라질 것 하나 없어 정말로 이기고 싶으면 필요한 사람이 되어야 해!!” 진정 필요한 사람은 어떤 사람인가. 바로 소통하는 사람이다. 김사부는 일반, 흉부, 신경외과까지 트리플 보드를 달성한 사람이다. 한 개 전문의 따는데 8만 시간이 소요된다는데 세 개가 가능할까. 어찌되었든 극에서는 일반외과의로 뇌를 열고 흉부외과로 가슴을 열고 신경외과 의사로 잘린 팔을 잘도 붙이고 있으니 어찌 그를 내칠 수가 있겠는가. 뇌를 열 듯 생각을 열게 하고, 가슴을 열 듯 마음을 열게 하고, 잘린 팔을 붙이듯 잘린 관계를 붙여 주는 친구 같은 이가 이 시대에서는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리치리치>영화 마지막에 “우리 아들은 세계에서 제일 부자야 친구가 있으니까...” 라는 대사처럼, 어떤 상황이든 어떤 관계이든 열게 하고 붙일 수 있는 친구가 있다면 더 이상 바랄 것이 없는 행복한 사람이다. 2017년 1월 11일 강릉에서 피러한(한억만) 드립니다. 사진허락작가:포남님, 우기자님, 이요셉님
'삶의 생각' 카테고리의 다른 글
행복은 말이 아니다/경포호수 (0) | 2017.03.31 |
---|---|
생각의 근육/경포호수 (0) | 2017.03.31 |
조순박사의 최근 글 (0) | 2016.12.05 |
세상은 커다란 게임 판 /경포호수 (0) | 2016.08.05 |
이 시대의 덕후./경포호수 (0) | 2016.07.0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