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한잔의 여운

우리 삶의 일부, 커피에 대하여

Margaret K 2018. 10. 12. 20:07

우리 삶의 일부커피에 대하여

<KISTI의 과학향기3229
 
독서의 계절인 가을에는 예쁜 카페에서 향기로운 커피를 마시며 독서하기 딱 알맞다.
요즘은 가히 카페의 천국이라 할 정도로 다양한 카페들이 눈과 코로 우리를 자극한다.
이제 카페라는 공간은 우리 삶의 확장이고커피는 필수 요소다.
커피가 우리 삶의 일부가 되기까지 어떤 과정이 있었을까?
 
커피의 전파 역사
 
6세기경 아프리카 에티오피아 지역에 살던 ‘칼디’라는 양치기는 가뭄이 계속되자
평소 가지 않던 먼 곳까지 염소 떼를 몰고 갔다그런데 얼마 후 칼디는 한 무리의
염소들이 평소와는 달리 비정상적으로 흥분하고 신경질적인 반응을 보인다는
사실을 알아차렸다.
 
그 염소들을 자세히 관찰한 결과입 속에 빨간색 열매를 넣고 아작아작 씹는 것을
발견했다궁금해진 칼디는 염소들이 먹는 열매를 직접 따먹어 보았다잠시 후
칼디는 자신도 마구 춤출 것처럼 기분이 좋아지는 것을 느꼈다바로 인류가
처음으로 커피의 효능을 알게 된 순간이었다.
 
아프리카에서 발견된 커피는 아랍으로 전파되면서 본격적인 음료로 개발됐다.
아랍에서 처음으로 커피를 먹기 시작한 사람은 이슬람교의 신비주의자인 수피교도
들이었다그들은 긴 밤 기도 시간 동안 졸지 않기 위해 커피를 마셨다.
 
이후 커피는 십자군전쟁을 통해 유럽으로 전파됐다.
특히 르네상스시대 유럽의 지식인과 예술가들은 커피의 효과에 열광했다고 전해진다.
커피의 부흥은 문예 부흥과 함께 시작된 셈이다.
 
커피하면 떠오르는 것카페인
 
커피를 마시면 졸지 않고 정신이 또렷해지는 이유는 카페인이란 성분 덕분이다.
카페인은 뇌에서 피곤한 신경을 쉬게 하는 아데노신의 작용을 방해하여 이 같은
각성 효과를 불러일으킨다.
 
그런데 커피나무와 같은 식물이 카페인 성분을 만들어내는 진짜 이유는 따로 있다.
움직일 수 없는 식물이 곤충으로부터 자신을 지키기 위해 카페인을 만든다는 학설이
바로 그것카페인은 박테리아나 곰팡이를 죽이고 몇몇 해충을 불임이 되게 만들며,
곤충과 유충의 행동 및 성장에 장애를 가져오는 역할을 한다.
 
미항공우주국(NASA)의 실험에 의하면
카페인을 먹은 거미는 모기를 한 마리도 잡지 못할 만큼 거미줄을 엉터리로 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했다“악마처럼 검고지옥처럼 뜨거우며천사처럼 아름답고사랑처럼 달콤하다.
 18세기 프랑스의 정치가 탈레랑이 한 이 말은 커피의 속성을 가장 잘 표현하고 있다.
 
tea time 32407661920
사진커피는 전 인류의 기호식품으로 자리 잡았다.
 
커피가 우리에게 오기까지
 
오늘날 상업적으로 재배되는 커피의 품종은
크게 아라비카종과 로부스타종의 두 가지로 분류된다.
그중 카페인 함량이 낮은 편인 아라비카종이 전 세계 커피 생산량의 약 70%를 차지한다.
향미가 우수하고 신맛이 좋아 고급스런 커피로 대접받는데열대의 고지대에서 재배된다.
 
아라비카보다 카페인 함량이 약 2배 정도 높아 거친 맛이 특징인
로부스타종은 주로 700m 이하의 고온다습한 지역에서 재배된다.
그런데 알고 보면 사실은 로부스타가 아라비카의 아버지뻘이 된다.
로부스타종과 또 다른 종의 커피나무 사이에서 ‘종의 합성’이란
육종 기술을 통해 탄생한 것이 아라비카종이기 때문이다.
 
한 잔의 커피가 소비자에게 전해지기 위해선 여러 차례의 공정을 거쳐야 한다.
커피 열매인 체리에는 두 개의 씨앗이 있는데불필요한 과육을 제거해서 말린 씨앗을
생두라고 한다과육을 제거하는 방법에는 건식법과 습식법이 있다.
 
건식법은 커피나무에서 열매가 검은색이 될 때까지 기다렸다가 수확한 다음
야외에서 약 2주간 햇볕에서 말린 뒤 껍질을 벗겨 씨앗을 발라내는 방식이다.
그 후 다시 건조하면 생두가 얻어진다이물질이 섞일 염려는 있지만
맛과 향이 좋은 제품을 얻을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에 비해 습식법은 익은 열매를 물에 담가 세척하면서 껍질을 벗겨낸 다음
발라낸 생두를 다시 씻고 말리는 방식이다.
건식법에 비해 손이 많이 가고 여러 차례 선별과정을 거치므로 이물질이 별로 없다.
그러나 햇볕에 직접 노출되는 시간이 상대적으로 길어 커피의 품질이
건식법에 비해 떨어질 수 있다는 단점을 지닌다.
 
이 같은 방식으로 생산된 생두는 ‘로스팅’이라는 2차 가공을 거쳐 원두로 만들어진다.
로스팅이란 간단히 말해 생두에 열을 가해서 볶는 공정이다.
적게 볶으면 신맛이 강하고 많이 볶으면 쓴맛이 증가하는데,
볶음 정도는 커피 품종에 따라 다르다.
 
또한 지역별로 로스팅의 강약에 따른 선호도가 다르다.
흔히 유럽인은 강하게 볶은 것을 선호하며,
한국인은 엷게 볶은 것은 좋아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커피의 향미는 로스팅을 한 지 2주일이 되면 거의 사라지므로
소량으로 볶아서 그때그때 마시는 것이 좋다.
 
마지막 가공 공정은 잘게 분쇄된 원두에서 다양한 향미 성분을 뽑아내는 ‘추출’이다.
추출에도 여러 가지 방법이 있다.
보통 테이크아웃 커피전문점에서는 에스프레소 머신을 이용해 추출한다.
이를 ‘가압여과 추출’ 방식이라고 하는데간편하고 신속히 커피를 마실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에스프레소(Espresso)는 빠르다는 의미의 영어 ‘express’의 이탈리아식 표기이다.
 
아라비카종 중에서도 최고급인 스페셜티 커피를 파는 커피 전문점의 경우
주로 종이필터를 이용한 ‘드립 추출’ 방식으로 커피를 뽑는다.
드립 추출은 에스프레소보다 속도는 느리지만 더욱 부드럽고 깔끔한 맛을 즐길 수 있다.
이 글을 읽은 독자 여러분커피 한 잔 하시기를.
 
 : 이성규 과학칼럼니스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