좋은글 모음

장점을 찾아내는 것도 능력

Margaret K 2007. 7. 20. 06:54
 


 장점을 찾아내는 것도 능력


한 연설자가 청중을 모아 놓고 열심히 자신의 주장을 펼쳤다. 재미없는 연설에 청중들은 10분도 채 안 되어 반응을 나타냈다. 다들 몸을 뒤틀며 지루한 기색이 역력한 가운데 유독 한 사람만이 처음부터 끝까지 귀를 기울여 경청했다. 연설자 입장에선 그 사람이 그렇게 고마울 수가 없었다. 단 한 사람이라도 자신의 이야기를 귀담아 듣는다는 사실에 연설자는 속으로 신바람이 났다.

처음엔 어색하기 짝이 없던 연설도 점차 청중들을 사로잡기 시작했다. 연설자가 자신감을 갖고 이야기를 전개해 가니 지루했던 장내 분위기가 싹 달라진 것이었다. 연설을 마친 뒤 연설자는 처음부터 끝까지 자시의 이야기에 귀를 기울여 준 사람 앞으로 다가와 고마운 마음에 악수를 청했다.

모 그룹 고위직 임원인 그 연설자는 훗날, 자신의 유일한 청중이었던 까마득한 후배 직원을 기억해 두었다가 중요 보직에 추천했다. 물론 단 한 번 연설을 경청했다는 이유로 중요 보직을 맡기게 된 것은 아니었다. 그날 이후에도 매사에 긍정적이고 적극적인 그 사람의 태도가 자주 눈에 띄었던 것이다. 그는 특히 남의 장점 찾기를 즐겨하는 사람이었다.

'이야기를 전개하는 방식이 좀 지루하긴 했지만, 듣다 보면 뭔가 흥미로운 내용이 있을 것 같았어요. 그래서 열심히 귀를 기울였더니 그분이 얼마나 열심히 연설 자료를 준비했는지 그 노고가 느껴졌죠. 신입 사원인 저에게 꼭 필요한 내용이었고요.'

이것이 그가 처음부터 끝까지 연설을 경청하게 된 이유였다. 다른 사람들은 별 볼일 없는 이야기로 시간만 질질 끈다고 불평하고 있을 때 그는 연설자의 장점을 본 것이다. 그 결과 그날 연설자였던 그룹 임원의 눈에도 평소엔 보이지 않던 그의 존재가 부각된 것이리라. 상대를 진정으로 인정해 주고, 칭찬해 주며, 좋아하는 마음을 가지면 상대도 나를 인정하고, 칭찬하며, 좋아할 수밖에 없다.

먼저 오늘 내가 만나야 할 사람을 한 사람씩 머릿속에 그려 보자. 그 사람의 미소 짓는 얼굴을 생각하자. 그가 가진 장점을 떠올리고 칭찬의 말을 나지막이 되뇌어 보자. 당신은 그런 상상을 하는 것만으로도 스스로 큰 부자가 된 것처럼 마음이 풍요로워지는 것을 느낄 것이다. 상대방도 마찬가지다. 당신의 입에서 그를 인정하는 말 한 마디를 던지는 순간, 상대방은 이미 당신 편이 되는 것이다.

 (이택희, '항상 최고가 되는 연습을 하라'중에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