성프란치스코의 글

태양의 노래

Margaret K 2019. 8. 1. 20:44

성 프란치스코의 태양의 노래
 

지극히 높으시고 전능하시고 자비하신 주여!
찬미와 영광과 칭송과 온갖 좋은 것이 당신의 것이옵고,

호올로 당신께만 드려져야 마땅하오니 지존이시여!
사람은 누구도 당신 이름을 부르기조차 부당하여이다.

내 주여! 당신의 모든 피조물 그 중에도, 
언니 햇님에게서 찬미를 받으사이다. 

그 아름다운 몸 장엄한 광채에 번쩍거리며,
당신의 보람을 지니나이다. 지존이시여! 

누나 달이며 별들의 찬미를 내 주여 받으소서.
빛 맑고 절묘하고 어여쁜 저들을 하늘에 마련하셨음이니이다.

 언니 바람과 공기와 구름과 개인 날씨, 그리고
사시사철의 찬미를 내 주여 받으소서.

당신이 만드신 모든 것을 저들로써 기르심이니이다.

쓰임 많고 겸손하고 값지고도 조촐한 누나
물에게서 내 주여 찬미를 받으시옵소서.

아리고 재롱되고 힘세고 용감한 언니 불의 찬미함을 
내 주여 받으옵소서.
그로써 당신은 밤을 밝혀 주시나이다.

내 주여, 누나요 우리 어미인 땅의 찬미 받으소서.
그는 우리를 싣고 다스리며 울긋불긋 꽃들과
풀들과 모든 가지 과일을 낳아 줍니다.

 당신 사랑 까닭에 남을 용서해 주며,
약함과 괴로움을 견디어 내는 그들에게서 
내 주여 찬양 받으사이다.

 평화로이 참는 자들이 복되오리니,
지존이시여! 당신께 면류관을 받으리로소이다.

내 주여! 목숨 있는 어느 사람도 벗어나지 못하는
육체의 우리 죽음, 그 누나의 찬미 받으소서.

죽을 죄 짓고 죽는 저들에게 앙화인지고,
복되다, 당신의 짝없이 거룩한 뜻 좇아 죽는 자들이여!
두 번째 죽음이 저들을 해치지 못하리로소이다.

내 주를 기려 높이 찬양하고 그에게 감사드릴지어다.
한껏 겸손을 다하여 그를 섬길지어다.

                                          (최 민순 신부 역)


The Canticle of Brother Sun by Saint Francis of Assisi


Most high, all-powerful, all good, Lord
All praise is yours, all glory, all honor
And all blessing.
To you, alone, Most High, do they belong.
No mortal lips are worthy
To pronounce your name.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all that you have made,
And first my lord Brother Sun,
Who brings the day; and light you give to us through him.
How beautiful is he, how radiant in all his splendor!
Of you, Most High, he bears the likeness.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Sister Moon and Stars;
In the heavens you have made them, bright
And precious and fair.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Brothers Wind and Air,
And fair and stormy, all the weather’s moods,
By which you cherish all that you have made.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Brother Fire,
Through whom you brighten up the night.
How beautiful is he, how merry! Full of power and strength.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Sister Earth, our Mother,
Who feeds us in her sovereignty and produces
Various fruits with colored flowers and herbs.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those who grant pardon
For love of you; through those who endure
Sickness and trial.
Happy those who endure in peace,
By you, Most High, they will be crowned.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Sister Death, 
From whose embrace no mortal can escape.
How dreadful for those who die in sin!
How lovely for those found in Your Most Holy Will.
The second death can do them no harm.
Praise and bless my Lord, and give him thanks,
And serve him with great humility.


As a Franciscan friar for over 50 years, I am very familiar with the stories of St. Francis of Assisi and animals. Many of you no doubt are familiar with the story of this brown-robed friar preaching to the birds. Or maybe that of his releasing Brother Rabbit from a trap, or letting Sister Raven serve as his “alarm clock” to awaken him for early morning prayers. Historians have credited Francis with composing the first great poem in Italian—a poem or hymn that bears the title The Canticle of Brother Sun (also known as The Canticle of the Creatures). In this hymn St. Francis invites all his brother and sister creatures—whether minerals, plants or animals—to praise their Creator. These creatures include “Brother Sun” and “Sister Moon,” “Brother Fire” and “Sister Water,” as well as “Sister Earth our Mother,” with all her various fruits and colored flowers.

For years, I have asked myself why: Why did Francis do this? Deep down, I wondered, what intuition prompted Francis to address all creatures as “brothers” and “sisters”? Over 30 years ago, I concluded that Francis came to the conviction that all creatures form one family of creation. Indeed, this is the view of St. Francis immortalized in his Canticle of Brother Sun. As Murray Bodo, O.F.M., observes regarding this canticle, “St. Francis calls us to…to see that all created things are our brothers and sisters, that we are interdependent” (from Fr. Murray’s timely little book, Poetry as Prayer: Saint Francis of Assisi, Pauline Books & Media, 2003).

We will meditate on St. Francis’ Canticle in segments. Although the Canticle is a very spontaneous poem or prayer flowing from the heart of Francis, it falls into distinguishable segments. The first six lines are devoted to God alone, our Creator, whose exalted status deserves first place in our reverence and high praise. And so we do well to imitate St. Francis by letting ourselves be swept up into giving “all praise” and “all glory” and “all honor” to our most high Lord.

Canticle of Brother Sun

Most high, all-powerful, all good, Lord
All praise is yours, all glory, all honor
And all blessing.
To you, alone, Most High, do they belong.
No mortal lips are worthy
To pronounce your name.

Looking ahead at the Canticle’s next 19 lines, we focus on the various “brother” and “sister” creatures God has made. We praise God for their beauty and preciousness and for the way they reflect God’s own goodness. It is fitting therefore that we embrace these creatures as brothers and sisters and as members of the same family to which you and I belong. As Fr. Murray affirms in Poetry as Prayer, St. Francis “did not turn away from creatures; he became one with them in a fraternal relationship that resisted domination.” It is with great joy and reverence therefore that we warmly accept these creatures and praise God with them and through them.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all that you have made,
And first my lord Brother Sun,
Who brings the day; and light you give to us through him.
How beautiful is he, how radiant in all his splendor!
Of you, Most High, he bears the likeness.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Sister Moon and Stars;
In the heavens you have made them, bright
And precious and fair.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Brothers Wind and Air,
And fair and stormy, all the weather’s moods,
By which you cherish all that you have made.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Brother Fire,
Through whom you brighten up the night.
How beautiful is he, how merry! Full of power and strength.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Sister Earth, our Mother,
Who feeds us in her sovereignty and produces
Various fruits with colored flowers and herbs.

On Pardon and Peace

Some time after St. Francis wrote and joyfully sang the original lines of the Canticle, he composed the following four lines to help resolve a dispute that had arisen between the mayor of Assisi and the bishop. St. Francis asked a friar to sing these lines in the presence of the two men so they might be reconciled. And, indeed, a reconciliation did take place. The lines were added later to the original parts of the Canticle presented above. These words also inspire us in our day to seek reconciliation with one another out of love for God. They will also lead us to peace—and to great blessings from the Most High.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those who grant pardon
For love of you; through those who endure
Sickness and trial.
Happy those who endure in peace,
By you, Most High, they will be crowned.

Sister Death

Finally, not many days before Francis saw his own death approaching, he added the following seven lines to his great Canticle of the Creatures.

All praise be yours, my Lord, through Sister Death, 
From whose embrace no mortal can escape.
How dreadful for those who die in sin!
How lovely for those found in Your Most Holy Will.
The second death can do them no harm.
Praise and bless my Lord, and give him thanks,
And serve him with great humility.

Throughout this canticle, we have seen how Francis saw God’s goodness, radiance and beauty in all creatures. He saw them indeed as benevolent friends, as brothers and sisters—as family. And now even the reality of death itself becomes “Sister Death” for Francis, and thus takes on friendly and even “sisterly” aspects. For who of us is afraid of our sister? Indeed, under usual circumstances we are not afraid of our sister. And so, neither does Francis see this sister as threatening to him. In fact, according to Thomas of Celano, the first biographer of the saint, St. Francis went “joyfully to meet [death]” and “invited it to make its lodging with him. ‘Welcome,’ he said, ‘my sister death!’” (See Celano 2, CXLIII,217.)

Conclusion

We all owe a great debt to St. Francis of Assisi and to his Canticle of the Creatures for leading us to the conviction that all brother and sister creatures make up one family under God’s loving care! May all these wonderful creatures continue to lift our hearts upward to God in this glorious prayer of praise!




태양의 노래

시대적 배경

프란치스꼬의 전기작가들은 이 노래를 “피조물의 노래”, “태양의 노래”, “주님의 찬가”, “자매인 죽음의 찬가”라고 부르고 있다. 이 4가지의 내용이 이 글 안에 모두 포함되어 있다. 이 송가는 3시기를 거쳐 3단계로 기술되었다. 첫 부분인 1절에서 9절까지는 프란치스꼬가 피조물을 끊고 난 다음 새로운 눈으로 피조물을 보면서 노래한 것이다(피조물의 노래). 그리고 둘째 부분인 10절과 11절은 주교와 아씨시 시장과의 불화 중에 프란치스꼬가 평화를 기원하는 마음에서 노래한 것이다(용서의 노래). 셋째 부분인 12절부터 14절까지는 프란치스꼬가 죽음을 앞두고 첨가하였다(죽음의 찬가). 첫 부분과 둘째 부분은 1225년에 작성하였고, 마지막 부분은 1226년 작성하였다. 프란치스꼬의 친저성(親著性)에 대한 의심은 없다.
이 찬가는 그리스도교 문학에 있어서 중요한 걸작 중의 하나이며 프란치스꼬가 옛 이태리어로 쓴 작품 중에 남은 유일한 작품이다. 이 찬가는 이태리 문학의 초기 작품이다.


내용

이 찬가는 매우 아름답고 낙천적인 노래로서 전 인류를 향하는 사랑의 교향곡의 공명관(共鳴管)이다. 성인이 모든 피조물들을 하느님 찬미에로 초대한 것은 피조물들이 하느님으로부터 창조되었고, 따라서 하느님의 위대하심과 사랑을 반영하고 있기 때문이다. 성인은 태양, 달, 별, 바람, 물, 불, 땅 등을 불러 주님을 찬미하도록 초대하고 있다.
첫째, 이 찬가는 피조물을 통하여 하느님께 드리는 찬미의 송가이다.
둘째, 이 찬가는 모든 피조물들을 지극히 높으신 분께만 속하도록 하는 최종적이고 절대적인 종속관계의 한 표현으로서 지극히 높으신 분께 대한 하나의 초월적인 찬가이다.
셋째, 이 노래에서 프란치스꼬는 모든 피조물을 형제 자매라고 부르면서, 우주 전체가 한 형제애 안에서 가족을 이루어 하느님을 찬미케 하는 노래이다.
넷째, 이 찬가는 프란치스꼬로 하여금 자기 고독과 자기 연민에서 탈피하도록 해 주는 경탄할 만한 노래이다. 프란치스꼬는 잃어버린 낙원을 다른 곳에서 찾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새 세상에서 찾아내고 있는 것이다.
다섯째, 이 찬가 안에 표현되어 있는 형제애는 외적인 피조물들을 통하여 묘사되었지만, 실은 영혼 資結?뿌리 박혀 있는 상호간의 사랑을 상징화하여 표현한 것이다. 
여섯째, 하느님께로의 상승은 적막한 것이 아니라 그분과의 친교에로 들어가게 하는 것임을 이 찬가에서 느낄 수 있다.
일곱째, 인간이 하느님께로 나아가는 데 있어서는 그분의 피조물인 인간들 사이에 화해와 친교가 먼저 요구됨을 이 찬가에서 절감할 수 있다.
결론적으로 모든 피조물을 향하는 이 사랑의 교향곡 안에 자연을 사랑하는 프란치스꼬의 애정이 담겨져 있고, 또 모든 이가 두려워하는 죽음조차도 자매로 보고 있는 프란치스꼬의 초월적인 영성이 이 교향곡 안에 담겨져 있다.



태양의 노래 해설 - 오상선 바오로 ,OFM 신부

태양의 노래 해설 - 오상선 바오로 ,OFM 신부

아시시의 성 프란치스코의 태양의 찬가는 피조물을 통한 찬미, 사람을 통한 찬미, 죽음을 통한 찬미 3부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이 노래의 중심 주제는 하느님 찬미이다.

태양의 노래 듣기

하느님 찬미의 노래

우리는 먼저 피조물을 통해서 하느님을 찬미할 수 있다. 창조주이신 하느님께서는 해와 달과 별, 바람과 공기, 구름, 맑은 날씨, 사시사철, 물과 불, 땅과 그 안에서 자라는 꽃과 풀, 과일을 통해서 우리에게 온갖 좋은 것을 다 베풀어 주시니 감사와 찬미와 존경과 영광과 영예를 받아 마땅하다는 것이 프란치스코의 생각이다. 그 생각이 제1부 ‘피조물의 노래’가 된 것이다.

제2부는 하느님께서는 사람을 통해서도 찬미를 받으셔야 하는데, 특히 용서(인내)와 화해를 통한 평화는 하느님을 찬미하는 가장 훌륭한 방법이다. 이는 아시시 주교와 시장 사이의 불화 소식을 들은 프란치스코가 이 용서의 노래를 통해 두 사람이 화해의 눈물을 흘리고 서로 용서하여 평화를 찾게 된 결과를 가져왔다. 프란치스코의 하느님 찬미는 이렇게 1부 피조물의 노래와 마찬가지로 사람의 능력이나 업적을 통해서가 아니라 생각하기 어려운 용서와 화해를 통한 찬미의 영역을 부각시켰다는 데서 그의 영성의 깊이를 짐작해 볼 수 있게 해준다.

제3부는 더욱 극적이다. 하느님께서는 죽음을 통하여 찬미를 받으셔야 한다는 논점이다. 죽음은 인간이 가장 싫어하고 멀리하는 것이며 찬미해야 할 대상이라기보다는 저주의 대상일 수 있다. 프란치스코는 죽음을 생명의 끝이 아닌 영원한 생명의 문으로 바라보고 있다. 그래서 죽음은 자비하신 하느님의 가장 큰 선물이기에 찬미와 감사를 드릴 수밖에 없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우주적 형제애와 참된 회개

이러한 구조적 특성 이외에 태양의 노래는 다른 피조물 찬가들과 사뭇 다른 특징들을 보여 주고 있다. 성경의 대표적 피조물 찬가인 시편 148편이나 다니엘서와 비교해 볼 때, 태양의 노래에서는 항상 피조물이 아닌 주님이 중심에 있다. 피조물을 부르지 않고 주님을 부르고 있다. 주님이 주어이지 피조물이 주어가 아니다. 주님은 이 노래에서 열 번이나 나온다. 또한 등장하는 피조물들이 하늘과 땅, 그 사이의 대표 조물들로서 온갖 만물을 의미하고 있는데, 그러면서도 음양의 조화, 즉 남성(형제)과 여성(자매, 어머니)의 기막힌 조화를 꾀하고 있다. 뿐만 아니라, 피조물과 사람이 차별되지 않고 창조주이신 하느님 안에서 같은 형제자매로 포함되고 있다는 것은 놀라운 일이다. 앞에서도 언급했지만, 피조물들은 모두 긍정적인 차원에서만 조명되고 있는 반면, 인간의 측면에서는 고통과 병고, 상처와 아픔, 종국에는 죽음에 이르기까지 부정적 차원이 부각되고 있다. 결론적으로 이 노래의 두 중심 주제는 하나의 거대한 가족으로서의 우주(우주적 형제애)이고, 용서와 화해와 평화(참된 회개)이다.

노래의 실천적 과제

태양의 노래는 우리에게 실천적인 과제를 제시해 준다. 여기서 그 과제들을 함께 음미해 보았으면 한다.

♣ 해와 달과 별
 산보하면서 햇볕과 그 따스함을 느껴 보라.
 10분간 장님이 되어 보라.
 다른 이를 위해 촛불을 밝혀 보라.
 10분간 침묵 중에 밤하늘을 응시해 보라.
 해돋이와 해넘이를 관상해 보라.
 내 어둠의 빛은 누구이신가? 
♣ 바람과 날씨
 자신의 숨을 의식적으로 느껴 보라.
 구름을 바라보라.
 한여름의 시원한 바람을 한번 느껴 보라.
 오늘 날씨에 대해 감사해 보라. 
♣ 물
 하루 동안 내가 물을 얼마나 쓰고 있는지 관찰해 보라.
 물을 사용하지 않고 하루를 지내보라.
 비를 맞으며 걸어 보라.
 샘에서 물을 마셔 보라.
 아침에 찬물로 씻어 보라.
 샘 주위를 깨끗하게 청소해 보라.
 성수를 찍으며 세례를 기억해 보라. 
 생명의 물을 어디서 얻을 것인가? 
♣ 불
 뜨거움이나 추위를 한순간 의식적으로 느껴 보라.
 불을 켜고 그 빛을 바라보라.
 난방을 생각해 보라.
 낮 동안 불의 흔적, 자취를 한번 찾아보라.
 집안에서 불의 흔적은?
 불이 없다면 어떻게 될까 생각해 보라. 
♣ 땅
 아침 일찍 신선한 공기를 마시면서 맨발로 흙을 한번 밟아 보라.
 의식하면서 음식을 먹어 보라.
 하루 동안 단식해 보라.
 흙을 만져 보고 흙냄새를 맡아 보라.
 정원에 꽃을 가꾸어 보라.
 수많은 과일들과 빛깔들을 유심히 관찰해 보라.
 “흙에서 왔으니 흙으로 돌아가라.” 이 말을 묵상해 보라.
♣ 용서와 평화
 용서에 민감하라.
 수고와 불편을 감수해 보라.
 병고에 인내하고 환자를 방문해 보라.
 다른 사람이 십자가를 지는 데 도와줘 보라.
 십자가의 길을 하며 묵상해 보라.
 다른 사람들과 평화를 유지하려고 노력해 보라.
 이방인, 피난민들의 벗이 되어 주라.
 하느님의 용서를 기꺼이 받아들여라.
 나를 평화의 도구가 되게 해달라고 기도하라. 
♣ 죽음
 내가 좋아하는 사람에게 선물을 하라.
 나에게 부족함이 있을 때 나의 행동을 관찰해 보라.
 나 자신의 죽음에 대해 생각해 보라.
 묘지를 방문하고 죽은 이들을 위해 기도하라.
 노인들을 방문하고 그들의 이야기를 들어 보라.
 “나에게 있어 죽는 것이 이익”이라는 사도 바오로의 말씀을 묵상해 보라.
 나는 무엇 때문에 살고 있는가? 
 나는 어떻게 하느님을 찬미하는가? 
 나는 자연의 아름다움을 통해서 하느님을 체험하고 찬미하는가? 
 나는 인간적인 갈등과 병고와 아픔을 통해서 하느님을 체험하고 찬미하는가? 
 나는 죽음에 이르러서도 하느님께 찬미의 노래를 바칠 수 있을 것인가? 
 그러기 위해서 우리는 하느님이 지극히 높으시고 선하심을 깊이 인식하고, 
 우리 자신은 피 조물로서 아무것도 아님을 먼저 깨달아야만 한다.



태양의 노래】


【들어가는말】


란치스꼬가 피조물 안에 있는 아름다움과 선함과 유익한 것을 감지하고 노래할 수 있었던 것은

그의 마음이 모든 소유적인 독점에서 해방되어 있었기 때문이다.

비록 고통의 원인이 되더라도 그에게는 모든 피조물이 사랑스럽게 보였다.

프란치스꼬는 이것을 자신을 위해서 “소유”하려고 하지 않았고 모든 사람에게 봉사하는

방법으로 택하기를 원하였다.



Ⅰ.작성배경,시기


이탈리아 문학사상 이탈리아어로 쓰여진 첫 번째 작품으로서 라틴어가 아닌 그의

모국어로 쓴 시이다.

프란치스코의 전기 작가들은 이 노래를 3시기를 걸쳐 3단계로 기술하였으며

첫 부분은 (1절~9절 ) ‘피조물의 노래이며’ 프란치스코가 아프고 성 다미아노에

머물 때이며 1224~1225년 겨울에 작성했다.

둘째부분은 (10절~11절)  ‘용서의노래‘ 이며 아씨시 주교와 시장사이 분쟁을 해결하는데 도움을 주기위해 1225 년 7 ~8월 쓰여 졌다

셋째부분은 (12절~14절) ‘죽음의찬가’이며 1226년 10월 프란치스코가 죽음직전에 쓰였 졌다.


Ⅱ. 본문내용


1부】 1~ 9절 “피조물의노래”


1. 지극히 높으시고 전능하시고 자비하신주여!

   찬미와 영광과 영예와 온갖 축복이

   오직 당신의 것이옵고


2. 호올로 당신께만 드려져야 마땅하오니 지존이시여!

   사람은 누구도 당신이름을 부르기 조차 부당하여이다.


3. 내 주여! 당신의 모든 피조물 그 중에도,

   언니 햇님에게서 찬미를 받으사이다.

   그로 해 낮이 되고 그로써 당신이 우리를 비추시는,


4. 그 아름다운 몸 장엄한 광채에 번쩍거리며,

   당신의 보람을 지니나이다. 지존이시여!


5. 누나 달이여 별들의 찬미를 내 주여 받으소서.

   빛 맑고 절묘하고 어여쁜 저들을 하늘에 마련 하셨음 이나이다.


6. 언니 바람과 공기와 구름과 개인 날씨,그리고 사시사철의 찬미를

  내 주여 받으소서.

  당신이 만드신 모든 것을 저들로써 기르심이니이다.


7. 쓰임 많고 겸손하고 값지고도 조촐한 누나

  물에게서 내 주여 찬미를 받으옵소서.


8. 아리고 재롱되고 힘세고 용감한언니 불의 찬미를

   내 주여 받으옵소서

   그로써 당신은 밤을 밝혀 주시나이다.


9.  내,주여 누나요 우리 어미인 땅의 찬미 받으소서.

    그는 우리를 싣고 다스리며 울긋불긋 꽃들과

    풀들과  모든 가지 과일을 낳아줍니다.


프란치스코는 피조물 사이를 거닐면서 하느님이 창조하신 경이로운 것들을

발견한다 

형님인 태양의 아름답고 찬란한 광채에 감사드리며 창조주의 모습을 보게 했다.

또한 프란치스코는 피조물 형제들에게 창조에 대한 찬미와 축복, 감사와

섬김을 노래로서 화답 하였으며 이것은 하느님께 드리는 감사와 봉헌의

외침이었다.




【 2부 】10~11절   “용서의 노래”


10. 당신 사랑 까닭에 남을 용서해 주며,

    약함과 괴로움을 견디어 내는 그들에게서 내 주여 찬양 받으사이다.


11. 평화로이 참는 자들이 복되오리니

    지존이시여! 당신께 면류관을 받으리소이다.


아씨시는 정치와 종교가 혼란스러웠다.

시장과 주교의 다툼으로 상태는 점점 악화되었고 시민들은 폭발 할것을 예상하고

있었다.

프란치스코는 이두사람이 계속해서 재앙의 길을 가도록 버려둘수 가 없었다.

성인은 동료 형제를 시장에게 보냈었고 또 다른 형제를 주교관으로 보냈다.

용서의 노래와 함께 그들은 평화로이 서로 포옹하였으며 주교와 시장은

프란치스코의 이 노래를 이해하였다.


 3부】 12~14절 “죽음의 찬가”


12. 내 주여 ! 목숨 있는 어느 사람도 벗어나지 못하는

    육체의 우리죽음 , 그 누나의 찬미 받으소서 .


13. 죽을죄 짖고 죽는 저들에게  앙화 인지고,

    복되다, 당신의 짝없이 거룩한 뜻 쫓아 죽는 자들이여!

    두 번째 죽음이 저들을 해치지 못하리로 소이다.


14. 내주를 기려 높이 찬양하고 그에개 감사 드릴지어다.

    한껏 겸손을 다하여 그를 섬기지었다.


 노래와 삶으로 복음을 선포하던 사람 프란치스코는 하느님께로 점점 다가 가고

 있었다.

 성인은 1226,10월초 죽음의 자매가 다가오고 있음을 느켰으며  마직막 구절

 3부는 자매 죽음을 통하여 프란치스코가 섬기던 하느님을 찬양 하는 노래이다. 


【 요약】


첫째 - 이 찬가는 피조물을 통하여 하느님께 드리는 찬미의 송가이다.


둘째 -  이 찬가는 모든 피조물들을 지극히 높으신 분께만 속하도록 하는 최종적이

         고 절대적인 종속 관계의 한 표현으로서 지극히 높으신 분께 대한 하나의  초월적인 찬가이다.

 

셋째 -  이 노래에서 프란치스코는 모든 피조물을 형제 자매라고 부르면서, 우주

        전체가 한 형제애 안에서 가족을 이루어 하느님을 찬미하게 하는 노래

        이다.

넷째 -  이찬가는 프란치스코로 하여금 자기 고독과 자기 연민에서 탈피 하도록

        해주는 경탄할 만한 노래이다.

        프란치스코는 잃어버린 낙원을 다른곳 에서 찿고 있는 것이 아니라 이미

        그리스도 안에서 이루어진 새 세상에서 찿아 내고 있는 것이다.

다섯째 -이 찬가안에 표현되어 있는 형제애는 외적인 피조물들 을 통해서 묘사

        되었지만,실은  영혼 깊이에 뿌리박혀 있는 상호간의 사랑을 상징화

        하여 표현한 것이다.

여섯째 -하느님 께로의 상승은 적막한 것이 아니라 그분과의 친교 에로 들어가게.


일곱째 -인간이 하느님께로 나아가는데 있어서는 그분의 피조물인 인간들 사이에

        화해와 친교가 먼저 요구됨을 이찬가에서 절감할수있다.

결론적으로 모든 피조물을 향하는 이 사랑의 교양곡 안에 자연을 사랑하는

프란치스코의 애정이 담겨져 있고, 또 모든이가 두려워하는 죽음조차도 자매로

보고 있는 프란치스코의 초월적인 영성이 담겨져 있다.


【맺음말】


<태양의노래>에서 우리는 하느님, 세상, 인간 그리고 프란치스코가 자매라고 이름을 붙힌 죽음등 현존하는 온갖

 세계를 만난다.

또 우리는 이 노래 안에서 독특 하면서도 필요한 모든 현존, 다양한 현존, 존중받고 사랑받으면 찬양되는 모든 현존을 만난다.

창조가 전적으로 선물이듯 자신의 삶도 하나의 거저 주어진 선물임을 성 프란치스코는 잘 알고 있었고 그 선물에 애정을 다해 형제적으로 일치하고 있었기 때문이다

우리는, 우리 사부 프란치스코가 모든 자연을 형제 자매라고 불렀던 것처럼 자연안에서 하느님의 전능과 지혜와 섭리를 발견하는 것만으로 충분치 않고 무엇보다도 그분이 보여 주시는 사랑을 발견할 수 있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