八餘居士
1519년 서른네 살 김정국(金正國1485~1541)은
기묘사화로 선비들이 죽어나갈 때,
동부승지의 자리에서 쫓겨나 시골집으로 낙향을 해
고향에 정자를 짓고 스스로 팔여거사
(八餘居士)라 불렀다.
동부승지의 자리에서 쫓겨나 시골집으로 낙향을 해
고향에 정자를 짓고 스스로 팔여거사
(八餘居士)라 불렀다.
팔여(八餘)란
여덟 가지가 넉넉하다는 뜻인데,
녹봉도 끊긴 그가 “팔여”라고 한 뜻을 몰라
친한 친구가 새 호의 뜻을 묻자,
은퇴한 젊은 정객은 웃으며 말했다.
"토란국과 보리밥을 넉넉하게 먹고,
따뜻한 온돌에서 잠을 넉넉하게 자고,
맑은 샘물을 넉넉하게 마시고,
서가에 가득한 책을 넉넉하게 보고,
봄꽃과 가을 달빛을 넉넉하게 감상하고,
새와 솔바람 소리를 넉넉하게 듣고,
눈 속에 핀 매화와 서리 맞은 국화
향기를 넉넉하게 맡는다네.
한 가지 더,
이 일곱 가지를 넉넉하게 즐길 수 있기에
‘팔여’라 했네."
친구는 팔부족(八不足)으로 화답했습니다.
"세상에는 자네와 반대로 사는 사람도 있더군.
진수성찬을 배불리 먹어도 부족하고,
휘황한 난간에 비단 병풍을 치고
잠을 자면서도 부족하고,
이름난 술을 실컷 마시고도 부족하고,
울긋불긋한 그림을 실컷 보고도 부족하고,
아리따운 기생과 실컷 놀고도 부족하고,
희귀한 향을 맡고도 부족하다 여기지.
한 가지 더,
이 일곱 가지 부족한 게 있다고 부족함을 걱정하더군."
이름난 술을 실컷 마시고도 부족하고,
울긋불긋한 그림을 실컷 보고도 부족하고,
아리따운 기생과 실컷 놀고도 부족하고,
희귀한 향을 맡고도 부족하다 여기지.
이 일곱 가지 부족한 게 있다고 부족함을 걱정하더군."
'차한잔의 여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생각의 차이 (0) | 2016.02.15 |
---|---|
잘못된 판단과 선택 (0) | 2016.02.14 |
◈그옛날 우리가살던 추억어린 사진◈ (0) | 2016.02.10 |
★*옛날 옛적 사진들 *** (0) | 2016.02.07 |
겨울에도 씨를 뿌리는 사람 (0) | 2016.02.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