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교

당신의 성품은 어떻게 생겼을까요?/월호스님

Margaret K 2011. 6. 13. 23:30

 

 

 

***당신의 성품은 어떻게 생겼을까요?***

 

일상생활에서 언제든지 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이
고자 하는 것은 참으로 좋은 수행 법입니다. 
그렇다면 이렇게 돌이켜 듣는 성품은 어떤 것일까요?
 
여기에 한 물건이 있습니다.
본래부터 한없이 밝고 신령하여,
일찍이 나지도 않고 죽지도 않았으며,
이름 지을 수도 없고 모양 지을 수도 없는 물건입니다.
 이 물건을 바로 보고 듣고 돌이켜 비추기도 하여 
보지만, 무어라 이름 붙일 수도 없고 그 모양을 설명할 수도 없습니다. 
이것이 무엇일까요?
 
육조 혜능스님의 제자인 하택 신회(670-762 당나라
스님)는 이를모든 부처님의 근본이요, 신회의 불성
이라고 대답하였다가 서자(庶子)가 됨을 면치 못하였
다고 합니다. 그러나 남악 회양 선사(677-744 당나라
스님)설사 한 물건이라고 해도 맞지 않는다
(設使一物卽不中)’고 대답함으로써 육조 혜능 스님의 
적자(嫡子)가 되었다고 합니다. 닦고 증득함이 없지는 
않으나 결코 오염될 수 없는 것, 이것은 무엇이겠습니? 
그럼 달리 생각해 봅시다.
나에게 하나의 경전이 있는데, 종이와 먹으로 이루어진 것은 아니네. 
그래서 펼치면 한 글자도 없건마는 
항상 큰 광명을 내 뿜는다네.”
 
그렇다면 이것이 또 무엇인가요?
여기에 대해서 시비분별로 따져서 알려고 하지 말고
그리고 깨치기를 기다리지도 말고, 다만이 뭐꼬?” 
하고 들어가면 화두가 되는 것입니다.
화두를 들면서 조급한 마음을 가지고 용을 쓰다 보면 
머리 쪽으로 열이 오르는 상기병(上氣病)이 생기므로 
너무 조급해서도 안 됩니다. 또한 너무 느슨해서도 
안 됩니다. 부처님께서 말씀하신 거문고 줄의 비유와 
같이 너무 팽팽하게도 너무 느슨하게도 하지 말아야 
합니다.  따라서 너무 부지런하게 공부하려 하기
보다는 차라리 꾸준히 공부하는 것이 더 낫습니다.
 
참선의 요령을 요약하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첫째, ‘마하반야바라밀(큰 지혜로 피안의 언덕을 
건너간다는 뜻)‘을 외웁니다. 이때 소리를 내어도 좋고, 
마음속으로 읊어도 상관없습니다.
둘째, 그 소리를 듣습니다. 스스로 내는 소리를 스스로 
듣는 것입니다.
셋째, 소리를 듣는 이 성품은 어떤 걸까? 어떻게 
생겼을까? 하고 반문하소 생각해봅니다.
 
여기서 한 발 더 나아가,
누군가 나를 폄하하는 소리를 듣거나 심지어 상대방이 
나를 욕하는 소리를 들으면서도 그 욕됨에 성질내기
보다는 그 욕설을 듣고 있는 이 성품이도대체 무엇인가?’ 
하고 반문하여 보십시오.
그러면 생활 속의 참선이 실답게 이루어지고 있는 
것이며, 당신은 지금 마음의 소리에 귀 기울이고 있는 것입니다.
 
월호스님의
[언젠가 이 세상에 없을 당신을 사랑합니다]중에서